상암 이어 세종? 언론사 잇따라 러브콜

MBC·YTN·한겨레·연합 등
주요 언론사들 '세종사옥 건립' MOU 박차

  • 페이스북
  • 트위치

주요 언론사들이 세종사옥 건립 등을 위해 잇달아 세종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언론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국회 세종의사당(분원) 설립이 가시화한 상황에서 이들 언론사가 기대한 선점 효과가 실현될지, 서울 상암에 이어 세종이 새로운 미디어단지로 떠오를지 주목된다.


지난 2월23일 MBC가 세종시와 ‘MBC세종’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이후 언론사-세종시 간 협약 체결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달 12일 YTN(YTN세종센터), 같은 달 23일 한겨레신문(한겨레세종), 이달 1일 연합뉴스(세종연합미디어센터)가 차례로 세종시와 협력을 약속했다. KBS의 경우 양승동 사장이 지난달 2일 창립 48주년 기념사에서 KBS 본사의 세종 이전 청사진을 언급했다.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가시화하면서 주요 언론사들이 본격적으로 세종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월23일 MBC가 세종시와 MBC세종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한 달 새 YTN, 한겨레신문, 연합뉴스 등도 세종사옥을 추진하며 세종시와 협약을 맺었다. 언론계의 이목이 쏠리는 상황에서 이번 협약을 체결한 언론사들이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을지, 서울 상암에 이어 세종이 새로운 미디어단지로 떠오를지 주목된다. 사진은 2020년 7월, 세종시 어진동 국회 세종의사당 이전 예정 부지 모습. /연합뉴스

지금 언론사들이 세종 진출을 준비하는 건 그 어느 때보다 국회의 세종 이전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올해 정부 예산안에 세종의사당 설립을 위한 기본설계비 147억원이 포함됐고, 세종의사당 설치의 근거가 되는 ‘국회법 개정안’이 올 상반기 중 처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2012년 정부세종청사 주변 지역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세종 언론단지 조성이 추진돼 여러 중앙언론사가 관심을 보였지만, 낮은 사업성을 우려한 대다수가 참여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연합뉴스 관계자는 “2012년 언론단지 조성 때와 2016년에도 (가칭 세종센터) 건립을 추진했었는데 이후 내부 논의가 중단된 상태였다”면서 “이번에 국회 이전 이야기가 공론화되면서 다시 이 문제를 검토했고, 세종시와 업무협약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회 이전 가시화… 선점효과 노리나

국회가 세종에 들어서면 기자들의 취재 환경 변화도 불가피하다. 당장 기자들이 대거 이동해야 한다. 현재 국회가 서울에 있다 보니 세종정부청사 내 부처를 담당하는 기자들은 주로 서울에 있고, 일부만 세종에 상주하는 식으로 취재활동을 하고 있다. 이전 이후엔 부처 담당뿐 아니라 정치부 기자 상당수도 세종으로 자리를 옮겨야 한다.


국회사무처가 지난해 11월 내놓은 세종의사당 건립 계획안에 따르면 국회 17개 상임위원회 가운데 11개가 먼저 세종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세종청사에 있는 부처들과 관련한 상임위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국회사무처, 의원회관, 도서관 등도 이전 대상으로 거론된다. 계획안이 그대로 적용되면 서울 국회엔 외교, 국방, 통일, 법무, 여성가족부 관련 5개 상임위만 남는다.


김현대 한겨레신문 사장은 “(국회가 세종으로 이전하면) 많은 기자가 세종에 거주하면서 일해야 하는, 취재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며 “세종시와의 업무협약 체결은 닥쳐올 변화에 깊이 관심을 갖다가 기회가 열리면 적극적으로 임하겠다는 취지다. 향후 구성원들과 어느 선까지 세종에 갈지 논의해야 하는데, 본사 이전까지도 고려할 만큼 최대한 열어놓고 생각하려 한다”고 말했다.

세종시, 세종의사당 후보지 인근에 미디어단지 구축 구상… 수요 파악

세종의사당 후보지 인근에 미디어단지를 구축하려는 세종시는 언론사와 협약을 맺으며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 세종시 관계자는 “미디어단지를 꾸릴 때 언론사들의 의견을 수렴해 반영할 수 있고, 행정적인 지원과 시에 맞는 미디어 기능을 발굴하는 차원”이라며 “여러 언론사가 문의해오고 있어 협약 체결사가 더 늘어날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로선 협약을 체결한 언론사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기대하긴 어렵다. 업무협약 자체에 구속력이 없는 데다 실제 해당 부지를 분양하는 주체는 세종시가 아닌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다. 세종시엔 토지 용도변경 권한만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종사옥 건립으로 복합부동산 사업 등을 통한 수익 창출까지 기대했던 언론사들은 보다 구체적인 계획을 그리고 있다.


박성제 MBC 사장은 최근 지역MBC 순회 간담회에서 MBC세종에 대한 구상을 밝히며 ‘IT·미디어 기업들을 유치해 복합 미디어센터를 건설하고 쇼핑몰, 오피스텔 분양’ 등으로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키우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MBC 관계자는 “지난해 사장이 직접 MBC세종 추진을 제안했고, 이번 업무협약으로 초석을 놓았다고 본다”며 “저희가 가장 먼저 협약했다고 (향후 분양에서) 특혜를 받을 수 있는 구조도 아니어서 현재로선 실익이 있을진 모르겠다. 다만 국회가 움직이고 나서 그때 뭐했느냐는 비난을 받지 않도록 준비해가는 단계”라고 말했다.


김달아 기자 bliss@journalist.or.kr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