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가 간부…기형적 인력구조 심화

본보 언론사 직급별 인원현황 조사




   
 
   
 
‘위는 늘고 아래는 줄어드는’ 언론사 인력 구조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간부비율의 증가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보가 2003년 8월 현재 언론사 기자직 간부비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41.2%로 집계됐다. 이같은 결과는 1년 6개월 전인 지난 2002년 2월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인사 적체, 현장기자 부족 등 구조적인 문제가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5면

10개 중앙일간지와 연합뉴스, 5개 방송사, 3개 지방지 등 19개 언론사의 기자 직급별 인원 현황(전체기자 4641명)을 살펴본 결과 차장 대우 이상 간부비율은 평균 41.2%(1912명)로 나타났다. 2002년 2월 당시 간부비율(37.2%)보다 4.0% 증가한 것이고, 97년 12개 언론사 간부비율(30.3%)보다 11% 늘어난 수치다. 중앙지(연합 포함)·방송·지방지별로는 각각 39.7%, 41.2%, 52.4%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비해 각각 4.1%, 0.9%, 11.5% 증가했다.

간부 직급별로 살펴보면 임원 0.6%(27명), 국장 1.5%(71명), 국장대우 0.4%(19명), 부국장 2.8%(129명), 부국장대우 1.3%(62명), 부장 7.7%(353명), 부장대우 4.2%(193명), 차장 13.6%(633명), 차장대우 9.2%(425명)로 나타나 차장 직급이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평기자는 2729명으로 절반을 조금 넘긴 58.8%였다.

19개 언론사 가운데 가장 높은 간부비율을 기록한 곳은 광주일보로 63.3%였다. 50%를 넘어선 곳도 MBC 55.7%, 매일신문 55.0%, 국민일보 50.5%, 연합 50.2% 등 4곳이나 됐다. 다음으로는 세계일보 49.5%, 중앙일보 45.8%, SBS 44.6%, 부산일보 43.8% 순으로 나타났다. 간부비율이 가장 낮은 언론사는 한겨레로 28.0%였으며 조선일보 30.3%, YTN 31.9%, KBS·한국일보 32.1% 순이었다.

특히 지난해보다 간부비율이 10% 이상 높아진 곳은 경향신문이 29.3%에서 41.2%, 동아일보가 22.1%에서 32.4%, 문화일보가 29.0%에서 38.3%, 세계일보가 39.1%에서 49.5%, 광주일보가 52.1%에서 63.3%, 부산일보가 28.0%에서 43.8% 등 6개사에 달했다.

이같은 결과는 간부비율이 증가하면서 기자직 인력구조가 피라미드형에서 점차 종형과 항아리형으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간부층이 두터워지면 상대적으로 현장 인력은 부족해질 수 밖에 없고, 인사적체로 인한 사기 저하, 언론사의 경쟁력과 생산성 저하 등 각종 부작용이 속출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기형적인인력구조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직급과 직위, 연차와 승진 중심이 아니라 전문기자제, 대기자제, 에디터제 등 일 중심의 시스템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 서정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