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종이신문보다 온라인 지원해야"

KISDI '신문산업 활성화 지원방안' 보고서

  • 페이스북
  • 트위치
“신문 내부 혁신이 우선” 반론도

신문의 근본적인 위기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가 종이신문보다는 온라인판 광고 집행 등 신문사 인터넷을 지원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성욱제 책임연구원은 10일 발간된 이슈리포트 ‘신문산업 활성화 지원방안’에서 “신문광고의 감소는 다른 전통적 매체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으로 옮겨가는 것으로 모든 기존 매체에 동일하게 일어나는 현상”이라며 “결국은 미디어 환경변화에 적합한 새로운 수익모델 발굴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문위기’의 근본원인은 “미디어 환경 변화로 수용자들의 뉴스 접근권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면서 수용자들의 종이신문에 대한 니즈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고에 의존하던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된 것”이다.

성 연구원은 높은 광고의존도와 신문구독률 감소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이 부재하고 온라인 사이트의 광고매출이 기존 신문구독료와 광고매출 감소분을 충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그는 정부의 신문산업 지원 방향을 온라인 및 신규 플랫폼으로의 진출 확대 쪽으로 잡아야 한다는 제언을 내놓기도 했다.

다만 종이신문 자체에 대한 지원을 포기하자는 것은 아니며 미디어 환경 변화에 적합한 수익모델 발굴 지원에 집중돼야 한다는 것이다.

△읽기문화 진흥산업 △신문구독료 지원 △신문사뉴스콘텐츠 제작지원 △신문발전기금 △구독료 세액 공제 등 지원책은 필요하지만 신문의 미래에 대한 지원은 부족하다는 논리이다.

성 연구원은 이에 △온라인 방식의 NIE(신문활용교육) 도입 △정부·공공기관의 온라인신문 구독 등 온라인 유료판 활성화 △정부광고의 온라인신문 집행 △정부의 기사이용 저작권의 정당한 보상 등을 제언했다. 또한 신문기사의 디지털 제작과 신문사닷컴·인터넷 신문 등에 대한 비중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매출액에 근거해 ‘신문의 위기’를 전체 일간신문산업에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며 오히려 경제·IT 전문지, 무가지는 성장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국지는 일시적 위기, 지역지는 지속적인 위기를 맞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신문의 신뢰도 하락은 위기의 근본 원인이 아니라며 그 이유로 인터넷을 통한 뉴스 소비를 들었다.
온라인 저널리즘 전문가인 최진순 한국경제 기자는 이와 관련, 블로그에 올린 글을 통해 “성 연구원이 제시한 정책 지원에 대한 결론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면서도 “오늘날 신문산업 위기의 핵심은 미래에 대응할 수 없는 경영전략과 조직구조가 신문산업 내부에 똬리를 틀고 있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성 연구원이 지적했듯 신문 내부의 혁신이 요원하다면 정책지원도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말했다.

신뢰도의 하락이 근본 원인이 아니라는 것에 대해서도 반론했다. 최 기자는 “뉴스, 더 나아가 저널리즘의 위기는 신문산업 위기의 핵심인 동시에 미래에 대한 불운한 전망의 기저”라고 밝혔다. 민왕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