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 직업 환경 악화됐다
언론재단 보고서, 2년새 4천400여명 퇴직
정부 지원 '언론인공제회' 설립 대안 제시
김성후 기자
kshoo@journalist.or.kr
2009.12.09 14:29:59
한국언론재단의 2009년 언론인 의식조사에 따르면 언론인들의 이직 및 전직 의향 비율은 각각 17.6%와 28.8%로 나타났다. 일반 직업인들의 이직 의향 비율(7.4%)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최근 기업 홍보팀으로 옮긴 한 기자는 “아이들이 크면서 돈 들어갈 곳은 많은데 월급은 쥐꼬리고 회사 사정은 언제 좋아질지 불투명했다”고 말했다.
한국언론재단이 발간한 ‘언론인의 직업환경과 역할 정체성’(책임연구 황치성 언론재단 연구위원, 공동연구 송상근 동아일보 오피니언팀장, 정완규 고려대 대학원 언론학 박사) 연구보고서는 기자들의 직업환경 실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한국 언론인의 직업환경은 ‘열악’ 그 자체다. 언론인은 주당 56.2시간을 일하며 월 평균 2백92만원을 받고 있었다. 직업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6점 수준이었다. 노후대책을 준비 중인 언론인은 전체의 11.6%에 지나지 않았다. 또 언론인의 98.2%가 재교육을 희망했으나 전체의 20%만이 재교육을 이수했다.
특히 언론인의 이직 및 전직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난 2년(2008~2009년)간 자신이 몸담았던 언론사를 떠난 이직 및 전직 언론인은 오프라인 언론사 종사자 4천40명, 온라인 언론사 종사자 2백99명 등 모두 4천3백99명에 달했다. 총원 대비 지난 2년간 이직 및 전직자 비율은 각각 15.6%, 9.7%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언론사에서 특히 지방언론사 기자들의 이직 및 전직 비율은 3명 중 1명꼴인 31.4%에 달했다.
이직 및 전직을 원한 가장 중요한 원인은 직업만족도로 나타났다. 직업만족도가 낮을수록 전직 의향 비율이 높았고, 현재의 연봉 수준이 낮을수록 전직 의향 비율이 높았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직업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노후 준비의 중요성, 연봉, 승진 중요성 등의 순이었다. 지역일간지 기자들은 언론사 만족도, 고용불안, 조직 일체감, 업무량 등이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팀은 “언론인의 직업환경 악화는 직업만족도를 떨어뜨리고 결과적으로 다른 직업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으며, 취재와 보도라는 저널리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다”고 밝히며 국가적, 사회적 차원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기자들이 납입하는 회비를 주 재원으로 하면서 재원의 일정 부분을 정부가 지원하는 언론인공제회 설립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도는 언론인 복지법(The Orissa Working Journalists Welfare Fund Rules)을 시행 중이고, 그리스도 언론인공제회법(Mutual Aid Fund Rules for journalists)을 실시하고 있고, 폴란드(Journalists Mutual Aid Society Acts)나 영국에서도 기자단체를 중심으로 유사한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다.
황치성 연구위원은 “언론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데 동의한다면 언론인공제회 설립문제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할 때가 됐다”며 “1단계로 언론인공제회를 설립하기 위한 논의기구를 만들어 언론계 정부 시민단체가 실현 가능한 방안을 검토해 대안을 제시하면 2단계로 정부와 국회가 현실적 방안으로 다듬어 관련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