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캐스트' 온라인 저널리즘 질 저하 부추겨

트래픽 경쟁 '선정적·폭력적' 기사 양산…신뢰도 추락·수익 증가도 안돼

  • 페이스북
  • 트위치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시행 6개월을 맞았다. 언론사들의 트래픽은 뉴스캐스트 이후 뚜렷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언론사들의 표정은 밝지만은 않다. 겉으로는 뉴스편집권이 언론사에 고스란히 안겨진 듯 보이나, 실제로는 네이버의 권한만 강화되고 있다는 ‘속앓이’가 크다. 트래픽의 증가가 실제 수익에 연결되지도 않는다. 선정적인 기사가 양질의 기사를 대체한 지도 오래다. 전문가들은 뉴스캐스트가 ‘온라인 저널리즘’의 내리막길을 재촉하고 있다고 혹평한다.

뉴스캐스트, 언론사에 ‘독’

뉴스캐스트 시행 이후 언론사들의 트래픽은 크게 늘어났다. 한 인터넷 매체는 전체 순위가 비약적으로 늘어 10만위 권 바깥에 머물던 전체 순위가 천 단위 권내로 급등했다. 중앙 언론사들도 트래픽이 2~10배 이상 늘었다. 한 경제지는 단일 기사에서 3백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다른 경제지는 주요 신문사 순위에 올랐다.

이 같은 성과는 언론사에 ‘약’보다는 ‘독’이 되고 있다. 트래픽 경쟁을 부추기면서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기사가 생산되는 악재로 이어지고 있는 것. 지난 3월9일 A일보가 올린 기사를 살펴보면 △法 “유흥점서 女 가슴 만져도 음란 아냐” △폭행·살해 막장 사위·며느리 △신길동 발바리 출현 女 덜덜 등 하나같이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수위가 높은 기사들이었다.

한 닷컴사 기자는 “온라인용 기사는 정보의 가치보다 트래픽을 우선하게 된다”며 “선정적인 내용으로 제목장사를 하거나 연예 기사를 남발하고 있다. 이런 기사까지 써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 때는 기자로서 자괴감이 든다”고 말했다.

인터넷 매체와 중앙 언론사의 노출 크기와 비중이 같게 처리되면서 사실상 언론사간 서열이 파괴된 것도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조회수가 높은 인터넷 매체들을 좇아 낚시형 제목, 가십성 기사를 양산하면서 기사의 질적 하락도 심각하다. 경제지, IT 전문지인데도 뉴스캐스트 디폴트(기본형)에서는 연예 등 연성형 기사를 주로 노출하는 곳도 많다. 이는 신뢰도 추락으로 직접 이어진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크다.

트래픽 증가, 수익 직결 안돼

상황이 이렇지만 언론사들의 트래픽 증가에 대한 애착은 점점 커지고 있다. 온라인 맞춤형 뉴스를 생산하기 위해서 특별팀을 만드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매일경제, 전자신문이 속보팀을 만들었고 대부분 메이저 언론사도 온라인을 전담하는 인력을 따로 뽑아 팀을 구성했다. 아직까지 오프라인 위주로 기사를 생산하는 중앙 언론사로서는 기사가 생산되지 못하는 낮시간 동안 외신과 화제성 기사를 올릴 별도의 인력이 필요해서다. 여기에 갑자기 늘어난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한 서버 등 추가 설비와 포토·동영상 강화를 위한 시스템 개발과 인력 채용에도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언론사들이 이처럼 트래픽에 욕심을 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름 아닌 ‘온라인 광고’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하지만 이 역시도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우선 온라인의 광고 단가가 그리 높지 않다. 또한 광고주들이 과거 CPM 방식, 즉 노출 건수에 따라 광고를 지불하는 방식을 더 이상 선호하고 있지 않다. 실제 광고를 클릭한 건수(CPC), 혹은 광고 페이지에 들어와 물건을 구매한 건수(CPA) 등의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래픽이 증가한다고 해도 광고 수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네이버 지배력만 강화
이런 가운데 뉴스캐스트가 네이버의 뉴스 집중도를 낮추고 언론사들에 뉴스편집권을 넘겨준다는 본래 취지는 사라지고, 오히려 네이버의 편집권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네이버가 콘텐츠의 질적 하락이 플랫폼의 외면으로 이어진다는 이유를 들어 언론사들에 ‘경고’, ‘퇴출’ 등의 조치를 취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5월 국민일보가 뉴스캐스트로부터 한시적 퇴출을 맞았다. 네이버 측은 퇴출의 이유로 “클릭수를 높이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선정적인 기사를 편집, 노출하면서 안팎의 시정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네이버가 직간접적으로 뉴스편집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언론 위의 언론’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다른 닷컴사 기자는 “(네이버가) 언론사의 뉴스편집에 대한 관리감독을 빙자해 언론 위에 군림하려 한다”면서 “뉴스캐스트를 통해서 트래픽 등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언론사들의 줄 세우기가 가속되는 등 네이버의 권력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동 기구·장기 저널리즘 고민해야

네이버도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지난달 초 뉴스캐스트 개편을 이유로 뉴스페이지가 전면에 재등장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뉴스편집 자율권을 가진 언론사들이 나서야 하는 문제이지, 네이버가 관여할 사안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네이버 한 관계자는 “심의기구가 없는 상태라 뉴스 제휴사 선정을 담당하는 제휴평가위원회가 뉴스캐스트 문제까지 추가로 논의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언론사들이 스스로 자율 감시 조직을 만든다면 반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언론계는 일부 공감하면서도 “네이버의 영향력을 감안하면 책임 회피라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또한 “네이버가 직접 뉴스를 편집했던 과거 형태로 되돌아가는 것도 방법이 아니다”라며 “트래픽을 위해 매체의 정체성까지 저버리는 작금의 행위는 우리 스스로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한국경제 최진순 기자는 “온라인 저널리즘이 시민저널리즘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여기에는 네이버의 뉴스캐스트도 역할을 했다”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뉴스 전략과 온라인 저널리즘을 위해 언론과 네이버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