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포털 관계개선’ 명분 동참 종용동아 조선 중앙일보의 미디어다음에 기사공급 중단으로 신문사와 포털 간 기사콘텐츠 공급 문제에 대한 헤게모니 싸움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네티즌들에 대한 검찰 수사로 인해 법정공방도 가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조·중·동이 내세운 명분과 미디어다음 측에 대한 동정여론이 어떻게 귀결되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즉 조·중·동은 “다음 측이 네티즌들의 불법행위를 방치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네티즌들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은 “광고주 불매운동은 정당하다”, “과잉수사”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조·중·동은 기사중단의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 타 신문의 동참을 종용하고 있다. 물론 동참을 이끌기 위한 명분은 ‘대 포털과의 관계 개선’이다.
그동안 포털에 빼앗겼던 뉴스콘텐츠의 유통 주도권을 이번 기회에 되찾기 위해선 신문사들의 동참이 필요하다는 것.
하지만 언론계에선 포털 간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똑같은 문제를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에서만 기사공급을 중단했다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다른 신문사들은 뉴스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하지만 다음과의 기사공급 중단은 계약문제뿐만 아니라 닷컴사의 수입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미온적인 입장이다. 게다가 동참할 경우 네티즌의 여론 역풍도 부담이다.
한 신문사 실무자는 “일부 닷컴사는 기사공급 중단 이후 페이지뷰에 손해를 보더라도 본사가 부족한 수입을 보전해 줄 경우 동참할 의지가 있다는 것을 밝히기도 한다”면서 “하지만 일부 신문사는 현재 네이버에 비해 월등히 싼 다음과의 기사 전재료를 높이기 위한 협상카드로 이용하기 때문에 동참하는 언론사의 수는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본보가 조·중·동을 제외한 11대 중앙 일간지와 5대 경제지 경영기획실장 등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문화일보와 매일경제 등을 포함해 2~3개사만이 중단 여부를 검토 중이다.
매경 고위 관계자는 “실무적으로 회의를 하면서 검토 중이지만 고민스럽다”며 “인터넷 자회사가 따로 있고 mbn 등 자회사와 관련된 일이기 때문에 고민스러운 대목이 많다”고 말했다.
문화의 경우 올 연말까지 계약기간이기 때문에 이후 기사공급 중단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여타 신문의 참여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조·중·동의 기사공급 중단이 미치는 파급효과는 생각보다 적을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 이미 뉴스 소비가 포털 안에선 신문사 브랜드 단위가 아닌 기사 단위별로 유통되기 때문에 기사공급 중단 여파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다음 측 입장에서도 기사공급 중단 이후 트래픽에 미치는 영향보단 메이저 신문사와의 관계가 악화될 것이 부담이 되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해결될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한 기자는 “이번 기사공급 중단은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길 원치 않는 양측의 이해관계 때문에 오래갈 것 같지 않다”며 “온라인 광고 비즈니스 시행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원만한 합의의 장이 마련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선 관계자는 “저작권 보호 등 포털과의 관계 개선 등의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에 기사공급 재개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