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인터넷 뉴스 혁신사례의 시사점

최진순 기자의 온&오프<30>

  • 페이스북
  • 트위치

   
 
  ▲ 최진순 한국경제신문 전략기획국 기자  
 
오늘날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온라인 뉴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은 멀티미디어, 인터랙티브를 넘어 소통과 참여의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즉, 단순히 텍스트 위주의 평면 뉴스가 아니라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이 결합된 입체적인 멀티미디어 꾸러미가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여기에 이용자들이 반응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여지(reaction)를 높임으로써 뉴스 콘텐츠를 재설계하는 출구를 만들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블로거들이 뉴스를 마음대로 퍼갈 수 있도록 해 뉴스의 유통가치를 극대화하는 소셜 네트워크와의 접점 확보 같은 것이다.

이미 해외 신문, 방송의 온라인 뉴스는 그 대부분을 시연해 보이고 있다. 미국 CNN, 영국 BBC 같은 대형 방송사들은 이용자가 보내는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춰 놓은지 오래다. 더 나아가서 ‘볼티모어 선’같은 로컬페이퍼는 아예 18~34세 이용자층을 겨냥한 타깃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앞으로 온라인을 통한 뉴스와 그 서비스는 더욱 개인화, 맞춤화할 것으로 보인다. 또 올드미디어의 중요한 전략적 과제는 타깃 이용자들과 소통하는 일이며 그것을 위해 모든 내부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타깃 마케팅은 새로운 비즈니스의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온라인 뉴스의 질적 제고가 뒷받침돼야 한다. 어떻게 하면 인터넷, 모바일과 같은 새로운 플랫폼에서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라는 점부터 고민이 필요하다. 각 매체에 최적화한 뉴스 콘텐츠와 UI가 없이는 결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뉴스룸의 혁신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 그 자체도 아니며 그것으로 끝나는 것도 아니다. 뉴스룸의 혁신은 뉴스 콘텐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일관된 철학을 담을 때 의미있게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뉴스룸의 혁신은 언론사 내부에서 회자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시장 내 이용자들의 호평을 끌어낼 때 비로소 자리매김된다고 하겠다. 관건은 생산되는 콘텐츠이다. 때를 맞춰 콘텐츠를 감동적으로 제공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뉴스룸의 가치는 고양될 수밖에 없다.

그것은 기존의 뉴스룸이 만드는 콘텐츠를 넘어선 보다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작업에서 출발한다. 물론 온라인 뉴스룸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독자적으로 만드는 것도 필요하지만 그것은 비용 부담이 만만찮다는 점에서 주저할 수밖에 없다.

당장에는 이미 생산되고 있는 기존 콘텐츠를 서비스 환경에 맞게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갖는 것이 실용적이라고 할 수 있다. 피겨스케이터 김연아 선수에 이어 우주인 이소연 씨를 전담 마크한 SBS의 사례는 뉴스룸이 조금만 노력하면 이용자 관심을 높여 브랜드의 영향력을 끌어올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주인 이소연 씨의 경우 우주선 발사 직후와 우주 정거장과의 도킹 직후 1보 영상을 인터넷으로 발빠르게 올리는 것은 물론이고 연관돼서 나온 부산물들 즉, 그래픽이나 포토 등을 영상과 함께 재구성한 방식으로 인터넷에서 인기몰이를 했다.



   
 
  ▲ BS TV가 미리 제작해둔 CG를 인터넷용으로 재구성  
 

SBS 보도국이 준비한 CG 결과물을 인터넷 전용의 그래픽 포토, 그래픽 영상 뉴스를 위해 온라인 뉴스룸과 공유했기 때문이다. SBS 인터넷뉴스부가 인터넷용 뉴스 제작을 할 수 있도록 SBS 보도국이 협업을 한 것이다.

SBS의 인터넷 전용 우주인 뉴스는 'CG제작=sbs 보도국, 편집=인터넷뉴스부'의 바이라인을 단 채 제공됐다.


이에 앞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김연아 선수에 대한 SBS의 인터넷 서비스도 같은 형식으로 이뤄졌다. SBS가 TV를 통해 독점 중계한 영상물들은 인터넷뉴스부에 의해서 다양한 그래픽과 텍스트로 재가공됐다.



   
 
  ▲ SBS TV 중계영상을 다양한 포토 이미지로 재구성한 뉴스 콘텐츠  
 
또 대선 당일 선거방송 중엔 보도국 방송 기사 소스가 없는 상태에서도 <청와대 새 안주인 '내조비법' 대공개>, <[포토] 웃통벗고 면도하고…이명박 '그때 그 시절'> 등 TV 보도국에서 생산한 방송 콘텐츠를 재가공해 인터넷 뉴스로 재구성해 ‘댓글’이 쏟아졌다.

이밖에도 연말 연예대상, 연기대상 시상식도 주요 수상자 수상 소감과 주요 코너를 영상 편집과 포토 스토리텔링으로 서비스했다.

특히 피켜 스케이터 현장 중계에 나선 TV PD가 생생한 포토를 곁들인 짤막한 뉴스를 생산했고, SBS 인터넷뉴스부는 이를 새벽 내내 전달받아 '현장찍찍'이란 메뉴로 제공하는 순발력도 보였다. 우주선 발사 현장에 나간 중계 앵커가 직접 쓴 우주 이야기 시리즈와 발사 후기도 인터넷 뉴스로 부활했다.

앵커 또는 기자가 중요 사안에 대해 단지 중계나 TV 리포트로 끝내지 않고 인터넷 이용자를 위해 열정을 쏟아부은 것이다. 이에 대해 인터넷뉴스부 관계자는 "온라인 콘텐츠 생산과 관련 뉴스룸내의 활발한 소통과 이해가 높아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만약 뉴스룸 내 협업의 정서를 공유하지 못했다면 SBS는 인터넷에서 단지 방송에 나갔던 똑같은 영상과 리포트물을 제공하는 데 그쳤을 것이다. 성공적인 뉴스룸의 협업 패러다임의 정착은 곧바로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지난해 이태리 토리노에서 개최된 그랑프리 파이널 대회의 경우 자체 인터넷 뉴스를 15건 생산했고 모두 130만건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특히 2007년 하반기부터 계속 상승세를 유지한 SBS의 뉴스 트래픽은 지난 3월 한달 동안만 500만명이 넘는 순방문자수를 기록하며 다른 방송사를 압도했다.



   
 
  ▲ 화상대화 장면을 포토로 재구성한 인터넷 서비스  
 
신문, TV 등 국내 언론사 뉴스룸의 창의적이고 조직적인 온라인 서비스 경험이 전무한 가운데 SBS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한 협업을 통한 새로운 스토리 텔링, 오프라인 기자의 인터넷 뉴스 콘텐츠 생산 가담으로 유무형의 성과를 낸 것은 경이로운 일이다.

SBS TV가 최근 인터넷 이용자들을 고려한 뉴스 콘텐츠의 재설계를 잇따라 시연할 수 있었던 것은 첫째, 온라인 뉴스룸의 혁신가들을 고무시키는 내부 조직 문화 둘째, 오프라인 뉴스룸 종사자들의 인터넷 이해도를 높이는 소통의 확대 셋째, 충분히 잠재력이 있는 풍부한 콘텐츠 풀과 뉴스 제작 시스템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물론 중요한 것은 이러한 뉴스 서비스를 지속하는 일이다. 어떤 이슈나 경영진의 즉흥적인 판단에 따라 일관성이 흔들려서는 안된다. 그러한 여건을 만들기 위해 뉴스룸 내부에 확고한 협업의 전략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이제 뉴스 콘텐츠는 뉴스룸만의 문제가 아니다. 뉴스는 이용자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소통의 산물이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뉴스를 만들기 위해 뉴스룸은 끊임없이 진화해야 한다. 이것이 SBS TV 인터넷 뉴스의 혁신사례가 시사하는 핵심주제이다.

한국경제신문 전략기획국 최진순 기자 soon69@paran.com / 중앙대 신문방송학부 겸임교수

최진순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