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가 노조의 반대에도 처음으로 인사평가를 진행했다. 연합뉴스는 4월7~11일 부서장이 부서원을 평가하는 하향 평가를 중심으로 인사평가를 끝냈다. 부서원이 부서장을 평가하는 상향평가는 구성원들 참여가 저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황대일 사장은 신년사에서 “조직 문화의 환골탈태를 위해 인사평가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는 인사평가 결과를 승진, 승호, 보직 부여 및 이동, 특파원 선발, 포상 등 인사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인사평가는 업무성과(40점), 업무능력(30점), 업무태도(30점) 등 3개 영역에 걸쳐 진행되며 기자직의 평가 지표는 단독기사 실적, 전재 성과, 기사 기획·작성 능력, 정보수집 능력, 협업 능력, 전문성 확보 노력 등이다.
연합뉴스는 평가 등급을 A등급(91점 이상), S등급(81~90점), P등급(80점 이하)으로 구분하고, A등급과 P등급에 대해선 각각 부서 인원의 0~10% 범위로 제한을 뒀다. 또 부서장이 매긴 등급에 대해 실·국장과 편집총국장이 1·2차로 조정하는 절차를 뒀다. 평가 등급에 대한 이의신청도 가능하다. 연합뉴스는 인사평가를 연 2회 실시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노조는 협의 과정 부족, 인사평가 활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도 없이 졸속으로 시행한다며 보이콧을 선언했다. 노조가 인사평가제 불참안에 대해 3~4일 대의원 투표에 부친 결과, 81%가 인사평가 보이콧에 찬성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 관계자는 “사장이 인사평가제를 신년사에 언급한 이후 사측은 사원설명회 한 차례만 열고 인사평가를 강행했다”며 “무엇보다 평가 결과를 어디에 쓸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승호 제한에 활용된다면 급여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 조합원들의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평가 결과를 직원 급여에 활용한다는 데 선을 그었다. 급여 등 임금체계 변경은 노조의 동의가 필요한 사항으로 일방적으로 제도를 변경할 순 없다고 했다. 연합뉴스 관계자는 “공이 있는 곳에 상이 있게 하겠다는 것”이라며 “불이익을 주겠다는 목적이 아니라 잘하는 직원 북돋아 주고, 성과를 낸 직원에 대한 차등이 있어야 한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김성후 선임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