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지역언론 입점 신청 마감…내년 1분기 심사 완료

한국기자협회·방송기자연합회 가입사만 신청, 정량평가 100%
언론노조 "강소언론 기회 보장, 질적평가도 반영해야"

  • 페이스북
  • 트위치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종료 이후 새로운 방식으로 뉴스 서비스 입점을 추진한 카카오가 24일 지역 언론사 신청을 마감했다. 기자 직능단체 가입 여부와 정량평가만으로 심사가 이뤄지는 탓에 군소언론이 밀려나 포털이 공론장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 우려도 나온다.

카카오는 11일부터 이날까지 다음 포털에 입점할 지역 언론사 신청을 받았다. 지난해 5월 제평위가 중단된 뒤 1년 7개월 만의 제휴 심사 재개다. 카카오는 몇 개 언론의 신청을 접수했는지 공개하지 않았다. 카카오는 내년 3월까지는 심사를 마치고 통과한 언론을 입점시킬 예정이다. 평가 점수는 공개하지 않는다.

입점한 언론사는 다음 포털 첫 화면에 편집판을 운영하고 기사를 노출할 수 있다. 구독도 설정할 수 있어 조회수를 크게 높이게 된다. 포털이 뉴스를 구매하는 개념인 전재료도 받는다. 이를 콘텐츠제휴(CP)로 부르는데 현재 다음은 141개 언론사와 콘텐츠제휴를 맺고 있다. 대개 언론사는 검색 제휴만 맺고 전재료는 받지 않는다.

이번 심사로 지역 언론사 중 몇 곳이 추가로 입점할지는 알 수 없다. 카카오 측은 기자협회보에 지역별 할당은 두지 않았고 오직 정량 기준으로만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한 지역에서 여러 언론이 새로 입점하거나, 어떤 지역은 전혀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2021년 제평위가 지역을 9개 권역으로 나눠 지역별로 1개 사씩은 입점시킨 상태다.

앞서 카카오는 정성평가를 배제한 새로운 입점 심사 기준을 2일 발표했다. 우선 한국기자협회나 방송기자연합회 둘 중 한 곳에 가입한 곳이어야 한다. 또 전체 기사 중 독자적인 취재로 만든 ‘자체기사’ 비율이 30% 이상, 지역과 관련한 ‘전문기사’ 비율은 50% 이상이어야 한다. 입점 심사의 공정성을 보장하려 2015년 만든 제평위가 정성평가 중심 때문에 오히려 공정성 시비에 휘말린 데서 비롯된 조치이기도 하다.

입점하게 되면 지역 관련 주제의 ‘전문기사’만 보낼 수 있다. 카카오는 지난달 다음 뉴스섹션 화면을 개편해 소주제를 70여 개까지 나눠놓기도 했다. 포털에서 뉴스 배치를 다양하게 하려는 시도다.

하지만 입점 심사 자격을 제한해 평가받을 기회조차 원천 차단하는 것은 문제라는 시선도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이날 성명을 내고 “포털 뉴스가 용산과 여의도 중심성을 넘어 노동, 여성, 지역, 생태 등 여러 주제를 포괄하기 위해서는 작지만 강하고 알찬 언론사들이 입점할 기회를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이미 115개 지역 언론사가 기자협회에 소속돼 있지만 기자 수가 적어 가입 기준을 맞추기 어려운 곳도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또 “심사 과정에서도 기존 제평위 평가 항목 중 객관적으로 보도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 이를테면 탐사보도, 심층보도, 기자상 수상 이력, 기자 1인당 자체 기사 비율의 적정성 등을 평가 항목에 포함하여 다면적인 입점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카오는 일단 내년 초 지역 언론사 심사를 마무리하면 앞으로 기술, 경제, 환경 등 분야별로 추가 입점을 받을 계획이다. 분야를 몇 개까지 만들지, 언제까지 모든 분야의 1차적인 입점을 완료할지 등은 정해지지 않았다.

기존 제휴사는 계약이 만료돼도 새로운 심사 방식을 적용받지 않고 카카오 측과 협의해 계약을 이어갈 수 있다. 네이버는 제평위를 대체할 심사 방식을 올해 안에 내놓을 듯했지만 발표하지 않고 있다.

박성동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