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감사 선임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내부 출신인 감사 지원자 3명의 면면을 두고 구성원의 우려가 나온다. “특정 진영에 편향성을 가진 인물들”로, “정권에 비판적인 구성원에 대해 무분별한 감사의 칼을 휘두를 것”이라는 지적이다.
11월13일 신임 감사 공모 시행을 의결한 KBS 이사회는 11월27일 서류 심사를 거쳐 감사 지원자 7명 중 △김대회 전 창원방송총국장 △김윤로 전 경영지원센터장 △정지환 전 보도국장 등 3명을 면접대상자로 선정했다. 여권 이사 7명으로만 이뤄진 결정이다. KBS 이사회는 11일 면접 심사를 통해 최종 감사 후보자 1명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임명제청할 예정이다. KBS 감사의 임기는 3년으로, 현 감사의 임기는 12월25일까지다.
면접 대상자인 세 감사 후보 모두 ‘보복 인사 논란’ 등 과거 행적으로 인해 응모 당시부터 “부적격 인물들”이라는 내부의 비판이 나왔다. 이 중 정지환 전 보도국장은 2016년 당시 ‘최순실 국정농단’ 취재 요구를 묵살, ‘보도 참사’의 책임자로 꼽힌다. 또 그해 ‘기자협회 정상화 모임’을 결성한 그는 협회 소속 기자들을 부당 전보발령 내는 등 보복 인사를 주도했다는 의혹을 샀다. 이후 2019년 정 전 국장은 내부 과거사 조사기구인 진실과미래위원회(진미위) 권고에 따라 해임 처분을 받았다. 이듬해 재심을 거쳐 정직 6개월로 감경된 정 전 국장은 사측을 상대로 제기한 징계처분 무효확인 소송 1심에서 패소했으나, 2심에서 법원의 조정 결정으로 올해 2월 징계가 취소된 바 있다.
직전 선거방송심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김대회 전 총국장은 지난해 말까지 보수 언론단체인 공정언론국민연대 대표를 지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11월26일 성명에서 김 전 총국장에 대해 “2014년 KBS 노무라인 주축으로 당시 보복인사를 주도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감사 후보인 김윤로 전 센터장에 대해선 “(2022년도) KBS 경영평가위원으로 참여해 임명동의제 대상 확대에 대해 인사권을 사장 스스로가 포기한 것이라 평하면서 박민 사장 체제 임명동의제 불이행에 단초를 제공한 인물”이라고 질타했다.
이들 중 누구라도 감사로 취임할 경우 특정 KBS 구성원을 향한 보복 징계가 또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로 김대회 전 총국장은 직무계획서에서 “진미위 설립의 절차적 문제점과 회사의 의사결정 시스템은 문제가 없었는지 명확하게 밝혀 공영방송의 가치를 훼손하는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10일 취임 예정인 박장범 KBS 사장 임명자도 경영계획서, 인사청문회 등을 통해 “공정성과 정확성, 신뢰성, 중립성을 훼손할 경우에는 엄격하게 문책하겠다”고 밝혀 ‘구성원 통제 강화’ 기조라는 내부의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박상현 언론노조 KBS본부장은 “KBS의 경우 징계시효가 해당 사건으로부터 2년으로, 특정 사건에 대한 관계자들을 보복 감사를 한다는 건 힘들다”면서도 “하지만 감사라는 직위를 이용해 근태 기록, 법인카드 사용 내역 등을 조사해 별건으로 구성원에 대한 보복 감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말했다.
KBS 이사회가 감사 후보를 임명제청한다고 해도 차기 감사의 취임 여부는 당분간 불투명하다. 방송법상 방통위가 KBS 감사를 최종 임명하는데 현재 방통위는 김태규 위원장 직무대행 1인 체제여서 의결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박상현 본부장은 “감사 후보를 선출한다 해도 바로 임명이 될 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이렇게 이사회가 강행하는 것은 현 감사에 대한 압박용 메시지라고도 해석할 여지가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박민 KBS 사장 취임 이후인 올해 2월 사측은 김의철 전 사장 당시 임명된 박찬욱 감사의 동의 없이 감사실 실장, 부장 인사 등을 내며 감사업무의 독립성 훼손 논란을 키운 바 있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