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파업, 평화적인 해결 위해 언론 역할 중요"

언론노조·언론연대 성명 "다수 언론 방관…'제2용산' 파국 막을 막중한 책임 언론에 있어"

  • 페이스북
  • 트위치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조합 파업이 50일을 넘기며 분수령을 맞고 있는 가운데, 원활한 교섭과 평화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언론의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노조는 2016년 구조조정 당시 삭감된 임금 30%의 원상 복구 요구를 포기하고 사측의 4.5% 인상안을 수용했으나, 대우조선해양과 하청업체는 파업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는 뜻을 고수 중이다. 경찰이 21일 농성장 주변에 경찰 인력과 기동대 버스를 추가 배치하고 에어매트를 설치하면서 공권력 행사가 임박했다는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 보수언론 등 다수의 언론이 사태 악화를 방관하거나 부추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21일 ‘교섭 타결의 장애물, 윤석열 정부와 보수언론에게 경고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이들이) 문제 해결보다 폭력을 조장하고 노조를 분열”시킨다고 비판했다.

국가인권위원회 박진 사무총장이 21일 오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1도크를 방문해 '옥쇄 농성'을 벌이고 있는 유최안 민주노총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과 면담하고 있다. (뉴시스)

언론노조가 예로 든 건 조선일보의 <“민노총 막가파식 파업” 대우조선, 금속노조 탈퇴 찬반투표>, 동아일보의 <금속노조 5000명-대우조선 4000명 대치…20m 거리 일촉즉발> 같은 기사들이다. 언론노조는 “공권력 투입을 촉구하고 노조의 분열을 선동하는 이들에게 도대체 취재라는 행동이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언론개혁시민연대도 이날 ‘파국의 위기에 처한 옥포조선소, 그곳에 ‘언론’이 필요하다‘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먼저 “상황이 이렇게 악화된 데 윤석열 대통령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윤 대통령은 평화적 해결이 아닌 ‘공권력 투입’이라는 말부터 내뱉었다”고 지적한 뒤 ”대다수의 언론 또한 방관모드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언론연대는 “윤석열 대통령의 언급 이전에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들의 파업에 주목한 언론은 얼마나 됐나. ‘대우조선해양은 주인 없는 적자 기업’이라고 강조하며 누구도 책임지기 어려운 구조임을 계속 이야기해왔다. ‘다단계 하청구조의 문제는 개선해야 한다’면서도 현재 그 문제로 인해 고통받는 노동자들의 상황은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언론연대는 “이와 반대로 언론이 공론을 열고, 변화의 계기를 만들었던 경험을 기억한다”면서 2014년 시사IN이 시작한 ‘노란봉투 캠페인’을 언급했다. 당시 쌍용차 해고 노동자의 47억원 손해배상 기사를 접한 독자가 시사IN에 고통 분담과 연대의 의미로 4만7000원을 보낸 것을 계기로 시작된 노란봉투 캠페인은 4만7000명의 손길이 모여 14억7000만원을 모금했고, 손해배상 가압류로 고통받는 노동자와 가구 등에 지원됐다.

언론연대는 “지금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 필요한 것도 바로 ‘움직이고 행동하는 언론’”이라며 “‘제2의 용산 사태’를 우려하는 데 그치지 말고, 바로 지금 현장에서 또 다른 파국이 벌어지지 않도록 막아야 할 막중한 책임이 언론에 있다”고 밝혔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