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불법체류자로 12년을 살았다. 10년은 자수공장에서, 2년은 웨딩홀에서 일했다. 타지에서 향수를 달래기 위해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 몽골로 돌아가 민영 라디오 방송국을 세웠고, 이 방송국을 재난방송 시스템까지 갖춘 몽골 내 주요 방송국 중 하나로 키워냈다. 몽골의 민영 방송국 ‘MGL RADIO TELEVISION’을 이끄는 수렌삼 사장 부부의 드라마틱한 이야기다.
▲몽골을 방문한 한국기자협회 대표단이 칭기즈칸 국제공항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규성 기자협회장을 비롯한 한국기자협회 대표단이 몽골기자협회 초청으로 지난달 21일부터 일주일간 몽골을 방문했다. 지난 2014년 양국 기자협회가 교류를 시작한 이후 두 국가 언론인들 교류는 매년 이어지고 있다. 이번 방문에서도 몽골의 언론인들은 한국 언론인들을 뜨겁게 환대했다. 눈부시게 아름다운 몽골의 하늘만큼이나, 꿈틀대는 몽골의 언론 시장을 보는 느낌도 신선했다.
1990년대 이후 자유언론이 싹 튼 몽골에는 현재 언론 관련 회사만 450여 개가 있고, 4700여 명의 기자들이 일하고 있다. 몽골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하며 새로운 언론사들도 속속 생기고 있다. 전통의 미디어들이 위기를 겪고, 디지털 콘텐츠를 갖춘 발 빠른 미디어들이 언론 시장을 파고드는 모습도 한국과 흡사했다.
드넓은 초원 한 가운데에서도 몽골인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뉴스를 읽고, TV를 시청하고, 라디오를 들었다. 스마트폰이라는 플랫폼은 거대한 몽골의 영토를 하나로 연결하고 있었다. 전통적으로 유목민이었던 몽골인들이 이제는 완벽히 ‘디지털 노마드’화 된 것이다.
한국기자협회 대표단은 이번 방문에서 몽골 최대 국영방송국인 ‘MNB(Mongolian National Broad caster)’를 비롯해, 몽골의 대표적인 영자신문 ‘UB 포스트’를 발행하는 ‘몽골뉴스그룹’ 포털 사이트 ‘고고’ 등 다양한 언론사들을 방문했다. 신문과 방송은 새로운 수익원과 콘텐츠를 찾는데 분주했고, 신흥 미디어들은 디지털 뉴스와 캐릭터 사업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통해 젊은 층을 공략하고 있었다. 생존을 위한 고민이 한국 언론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포털사이트와 언론사의 경계, 저널리즘의 영역이 모호한 부분 등은 앞으로 몽골 언론이 풀어야 할 숙제로 보였다.
만다흐바야르 몽골 기자협회장은 “다양한 국제교류를 통해 몽골 기자들의 전문성을 높이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며 “한국기자협회가 많은 힘이 되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홍우 서울경제 지회장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