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어뷰징 퇴출 평가, '고무줄 규제' 불만 높아

[뉴스제휴평가위 활동 점검]
포털 진입장벽 높아지고
제재 결과 미공개 입방아

  • 페이스북
  • 트위치

네이버·카카오 입점 및 퇴출을 평가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출범 6개월을 넘어섰지만 언론계의 불만은 오히려 고조되고 있다.


뉴스제휴평가위가 기사 어뷰징 등을 근절하는 데 일조했지만 입점 및 퇴출 평가를 둘러싼 언론계의 불만이 불신으로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 언론계 지형을 뒤흔든 뉴스제휴평가위의 활동을 되짚어 봤다.
뉴스제휴평가위의 긍정적인 역할은 기사 어뷰징 등을 퇴출시키는 데 앞장섰다는 점이다. 온라인 생태계를 멍들게 한 주범인 기사 어뷰징의 경우 언론계 내부에서조차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했지만 자정의 손길까진 미치지 못했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출범 6개월을 맞이했지만 언론사들의 불만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1월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 및 제재 심사 규정’을 발표하는 모습.(뉴시스)

한 경제매체 관계자는 “언론사 간 경쟁이 심하다 보니 기사 어뷰징 등은 자기통제 밖에 있었다”며 “뉴스제휴평가위가 출범하면서 온라인 생태계를 정화시킨 측면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 밖에도 제3자 기사전송, 동일 URL 기사 전면 수정 등도 대폭 줄었다.


신규로 검색제휴나 뉴스콘텐츠제휴 등을 맺기 위해 자체 취재기사 발굴 노력이나 자사 사이트를 청정지역으로 만드는 ‘클린 사이트’운동 등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효과로 평가받을 수 있다. 실제로 더팩트는 기존 만화나 소설 서비스를 없애는 등 클린 사이트를 올해 연중 캠페인으로 펼치고 있다.


반면 뉴스제휴평가위의 평가를 둘러싼 공정성 시비는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 판단하는 기준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보니 ‘복불복’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


언론사들이 ‘고무줄 규제’로 문제 삼고 있는 대표 사례는 부동산분양기사다. 부동산분양기사에 업체 연락처 등을 넣는 게 관행인데 지면에 나온 기사가 온라인에 그대로 게재돼도 문제 삼지 않은 반면 온라인용 기사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입점을 위한 진입장벽 역시 이전보다 높아졌다는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매체력과 인지도 등이 우선되다보니 신규 입점마저 기존 언론사의 서브매체나 계열사가 유리할 것이란 시선이 팽배해지고 있다.


지난달 뉴스콘텐츠 제휴를 신청한 한 언론사 임원은 “포털이 기존 사업자들과의 형평성은 감안하지 않고 신규 매체에 대해서만 진입장벽을 높여 놓았다”며 “연말에 퇴출되는 언론사가 없을 경우 이런 의심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회의 결과에 대한 내용마저 제대로 밝히지 않으면서 불신만 키우고 있다. 뉴스제휴평가위는 지난달 3개 매체에 대해 24시간 노출을 중단시키는 제재를 내렸는데도 해당 매체를 비공개했다. 뉴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다는 이유를 내세웠지만 쉽게 알 수 있다면 주의 환기를 위해 오히려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처럼 언론계가 뉴스제휴평가위 활동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제재만 있을 뿐 포털사들이 후속 조치로 내놓아야 할 공생 방안이 빠져있기 때문이다.


한 언론사 온라인분야 고위간부는 “양 포털이 뉴스제휴평가위를 출범시킬 당시 내건 캐치프레이즈는 ‘건강한 저널리즘 복원’이었다”면서 “그러나 지금 돌아가는 것을 보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네이버는 하이퍼링크 콘텐츠마저 악성코드가 들어온다는 이유로 막아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새로운 광고영역으로 주목받고 있는 네이티브 애드(Native Ad) 역시 비슷한 처지다.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미국의 네이티브 애드 시장규모는 2013년 47억달러에서 2018년 210억달러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 닷컴사 고위 간부는 “네이티브 애드가 새로운 광고 패러다임이기 때문에 활성화시키기 위해 논의하던 중 뉴스제휴평가위 출범과 함께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논의 자체가 자취를 감췄다”고 말했다.


이런 불만을 한꺼번에 해소할 수는 없지만 작은 데서부터 공생모델을 찾아야 한다는 게 언론계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또 다른 언론사 관계자는 “언론사가 돈 들여 만든 물건을 포털이란 백화점에 납품하는데 정작 누가 이 물건을 사가는지 모르고 있다”며 “포털 뉴스 이용 데이터를 요구하는 이유는 이용자들의 뉴스소비 행태에 맞게 좋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인데 포털이 이를 계속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뉴스제휴평가위 한 위원은 “설립 목적인 입점·퇴출 평가를 넘어선 권한은 없기 때문에 포털과의 공생을 위한 논의는 별도의 기구나 조직에서 이뤄지는 게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