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활한 우주, 어디쯤 있는 것일까

[그 기자의 '좋아요'] 장순원 이데일리 기자

  • 페이스북
  • 트위치

▲장순원 이데일리 기자

[책] 칼 세이건 ‘코스모스’


기자 연차가 쌓일수록 책과 거리는 점점 멀어졌다. 기껏해야 일과 관련된 실용서나 유행을 따라가려 어쩔 수 없이 읽는 서적이 대부분이었다. 작년 회사 독서모임에 가입한 뒤 유령회원처럼 지내던 올봄 내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읽자고 제안한 것은 지금 생각해봐도 이해가 되지 않은 일이다. 우주나 천문학은 생소한 분야인데다가, 700쪽의 두께는 눈길을 주기에도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일상의 헛헛함을 채워보려는 발버둥이었는지 모르겠다.


코스모스를 단순한 과학서적이라고 생각한 건 내 착각이었다. 우주와 생명의 기원, 인간의 탄생과 근원에 대한 물음이 과학과 역사, 철학 등과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책이었다. 출간한지 40년도 안 돼 고전 반열에 오른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숫자와 과학, 천문분야의 전문지식이 나오는 부문도 있지만, 상상력과 흥미를 자극해 마치 옛이야기를 읽듯 쉽게 읽히는 게 장점이다. 사실 전문분야를 쉽게 설명한다는 것은 훨씬 힘든 일이다. 책 곳곳에서 우주과학은 어렵고 재미가 없다는 편견을 깨려는 저자의 노력과 열정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특히 코스모스와 함께 지구와 우주, 생명의 탄생과 기원을 탐험하면서 일상에 파묻힌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어 좋았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인간은 광활한 우주에서 시골구석인 지구에 발 딛고 있는 보잘것없는 존재다. 그러면서도 우주의 중심이라고 착각하며 살고 있다. 한때 태양은 ‘벌겋게 달아오른 돌’이었고, 은하수는 ‘밤하늘의 등뼈’였다. 내 시각으로 세상을 재단하니 왜곡돼 보인 것이다. 그렇지만 우주적인 관점에서 하찮은 미물은 우주의 기원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다는 점에서 위대하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에서 예측이 실제와 맞지 않으면 과감하게 버리면서 한발씩 전진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대인은 늘 바쁘다. 기자도 마찬가지다. 앞만 보고 뛰면 바로 옆도 눈에 안 들어올 때가 잦다. 나를 늘 중심에 놓다 보니 역설적으로 내 위치를 자주 까먹는다. 그래서 “이 길이 맞는걸까?” “나만 뒤떨어진 게 아닐까?”라는 두려움으로 가득하다.


세이건은 “자신의 위상과 위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주변을 개선할 수 있는 필수 전제”라고 강조한다. 기자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이 아닌가 싶다. 나무에서 조금 떨어져야 숲이 보인다. 팍팍한 일상과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내가 어디쯤 있나 되돌아보는 시간을 준 이 책이 고맙다.



장순원 이데일리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