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국방부 협찬기사 도마

7회 보도 대가로 1억원 받아

  • 페이스북
  • 트위치

중앙일보가 국방부 홍보대행사인 인포마스터로부터 1억원을 받고 국방부 홍보기사를 싣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진성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중앙일보는 지난 620일 인포마스터와 '2015년 국방부 주요 정책기획홍보 약정서'를 체결했다.

 

▲중앙일보-인포마스터 기획홍보약정서.(진성준 의원실 제공)

중앙은 620~12311500자 내외 면 톱기사를 종합면 7, 1회 이상 보도하는 대신 그 대가로 1억원을 받기로 한 게 계약의 주된 내용이다.

 

이에 따라 중앙은 번호로 남은 9826, 이름 찾아주는 그들”(624일 수요일 8), “메르스 때 환자 이송 군, 전시계획 따랐다”(83일 월요일 10), “지지율 15% 오른 박대통령, 군복 대신 카키색 재킷”(829일 토요일 3), “저비용 고효율 문경 군인체육대회국제대회 본보기 됐다”(115일 목요일 C01면 특집) 등을 보도했다는 게 진성준 의원의 설명이다.

 

특히 7,9,10월엔 이 같은 협찬 기사가 작성되는 않은 가운데 지난달 23일자 중앙일보 1면과 6면 종합판을 통해 “KF-X 핵심기술 4개중 3개는 개발했다”, “AESA 소형제작 성공했지만 실제 크기 만드는 건 시간 필요라는 제목으로, 현 정부의 입장을 두둔하는 기사를 내보냈다고 진 의원은 주장했다.

 

또 이 기사가 군사기밀 누설사건에 대한 조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덧붙였다진 의원은 중앙일보 지난 912일자 군사기밀 흘리는 진성준기사에 대해 중앙 측에 사과와 함께 정정보도를 요청했으나 언론중재위 조성이 불성립돼 현재 민사소송에 들어갔다.

 

문제는 돈을 받고 기사를 써주는 협찬성 기사가 중앙뿐 아니라 언론계 전반에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는 점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부가 자기 입맛에 맞는 언론사에만 협찬하기 위해 홍보대행사를 끼고 예산을 집행하기 때문에 외부에선 협찬 기사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없다는 점이다.

 

언론 역시 기업의 광고예산은 한정된 데 비해 매체 수는 늘다보니, 줄어드는 매출을 메우기 위해 협찬 기사의 유혹에 쉽게 빠지고 있다.

 

이에 대해 중앙일보 관계자는 약정서를 쓴 것은 맞지만 진 의원이 제기한 지난달 23일자 기사의 경우 현장 기자가 자체 취재해 쓴 기사라며 포괄적으로 계약을 했지만 콘텐츠 생산에 대해선 개입하지 못하도록 했다. 현재 어떤 기사가 이런 계약을 통해 제작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