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능력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박근혜 정부가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가정보원이 이탈리아 ‘해킹팀’에서 구입한 ‘RCS(리모트 컨트롤 시스템)’를 대북·대터러 외에 민간인 사찰에 사용했을 것으로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협회보는 한국기자협회 창립 51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8월5~11일 현역 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평가, 국정원 해킹의혹 사건, 김영란법, 포털 실시간 검색어 순위 폐지, 뉴스룸 고령화 등에 대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기자들 88.5%가 ‘잘못하고 있다’(아주 잘못 50.5%, 다소 잘못 38.0%)고 응답했다. 박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자들은 그 이유로 46.7%가 ‘독선·독단적 리더십’을 꼽았고 ‘국민소통 미흡’ 35.6%, ‘경제정책 실패’ 8.2%, 복지·서민정책 미흡 6.1% 등이 뒤를 이었다. 박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하고 있다’(아주 잘함 0.4%, 다소 잘함 8.3%)는 응답은 8.7%에 그쳤다. ‘잘모름’ 2.8%였다.
기자들은 박근혜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해야 할 것으로 32.6%가 ‘남북정상회담 제안’을 들었다. 다음으로 ‘5·24 조치 해제’ 26.1%, ‘개성공단 활성화’ 19.9%, ‘금강산 관광 재개’ 13.4%, ‘대북심리전단 살포 중단’ 3.4%순이었다.
국정원이 2012년 1월과 7월 구입한 ‘RCS’ 사용처에 대해 기자들 80.2%가 ‘대북·대테러 외에 민간인 사찰’이라고 답했다. 민간인도 사찰했을 것이라는 응답은 방송(84.0%)과 지역(90.8%)기자들, 직급별로는 부장·부장대우(84.0%)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북·대테러용으로만 사용’은 11.4%로 나타났다.
“민간인 불법사찰은 없었다”는 국정원 해명에 대해 84.7%가 불신한다(매우 불신 37.9%, 불신하는 편 46.8%)고 응답했다. 방송(89.7%)과 지역(92.7%) 기자들, 직급별로는 평기자(86.9%)들이 국정원 해명을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한다는 응답은 12.6%에 그쳤다.
‘김영란법’ 언론인 포함 여부, 찬성 51.6%·반대 45.8% ‘팽팽’
“언론인 특권의식 없애기 위해” 찬성 36.0%
“언론인 잠재적 범죄자 인식시켜” 반대 40.6%
국정원 해명에도 불구하고 민간인 사찰 의혹이 수그러들지 않는 이유로 기자들 46.4%가 ‘댓글·간첩증거 조작 등 국내 정치개입’을 들었고, 그 다음은 ‘로그파일 원본 등 국정원의 자료제출 거부’ 45.0%, ‘야당과 일부 언론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 5.7% 등 순이었다.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한 ‘부정청탁 및 금품수수 등의 금지에 관한 법률’, 일명 ‘김영란법’의 적용 대상에 언론인이 포함된 데 대한 찬반을 물었다. ‘찬성한다’ 51.6%, ‘반대한다’ 45.8%로 오차범위 내에서 찬성 답변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잘모름’은 2.6%였다.
‘찬성한다’는 응답은 방송(61.4%), 평기자(54.0%), 지역(55.8%)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신문(48.0%), 부장·부장대우(51.1), 중앙(47.7%)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김영란법’ 적용 대상에 언론인이 포함된 것에 대해 찬성한 기자들은 그 이유로 36.0%가 ‘언론인 특권의식을 없애기 위해서’라고 꼽았고, ‘우리사회 부패방지를 위해서’ 33.6%, ‘취재관행 쇄신을 위해서’ 30.4%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하는 기자들은 그 이유로 ‘언론인을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시켜서’ 40.6%, ‘정당한 취재활동 방해’ 31.3%, ‘언론자유 침해’ 21.2% 등이었다.
“포털, 실시간 검색어 순위 폐지해야” 62.4%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지난 5월 포털에 게재하는 뉴스 매체 선정과 해지 등을 제3의 독립기구에 맡기는 ‘포털 뉴스제휴 평가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이 기구가 사이비 언론 퇴출과 어뷰징 방지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 49.2%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반면, 43.1%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어뷰징을 막고 이용자 피해를 줄이기 위해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62.4%가 ‘맞는 말이다’(전적으로 맞음 20.2%, 대체로 맞음 42.2%)라고 응답했다. 37.2%는 ‘맞지 않는 말이다’(전혀 맞지 않음 6.9%, 별로 맞지 않음 30.3%)고 답했다. ‘맞는 말이다’는 응답은 직급별로 차장·차장대우, 지역별로 중앙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뉴스를 찾는 소비자의 경로가 종이신문과 TV에서 웹, 웹에서 스마트폰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발 맞춰 ‘소속 회사가 모바일 등 디지털 전략을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61.2%는 ‘실천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38.6%는 ‘실천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실천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은 중앙방송(66.2%)과 지역민방(100.0%) 기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디지털 전략 실행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기자들 37.1%가 ‘회사 차원의 비전’이라고 답했다. 이어 ‘전담조직’ 30.5%, ‘뉴스룸 인력 확충’ 22.2%, ‘기자들의 노력 확대’ 10.0% 등이 뒤를 이었다.
KBS 영향력 4회 1위·한겨레 신뢰도 8회 1위
기자들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로 KBS를 꼽았다. KBS는 31.0%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조선일보(21.6%)였고 연합뉴스(15.0%), SBS(6.1%), JTBC(4.2%), 한겨레(3.0%), YTN(2.7%) 차례였다. 무응답은 9.8%였다. MBC는 JTBC에도 못 미치는 1.4%, MBN은 0.2%에 불과했다. KBS는 기자협회 조사에서 2011년, 2013년, 2014년에 이어 네 번째 영향력 1위에 올랐다.
기자 13.7%는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로 한겨레신문을 들었다. 이어 KBS(13.3%), 경향신문(11.3%), 연합뉴스(10.2%), JTBC(8.7%), SBS(5.4%), 조선일보(3.5%), 중앙일보(2.8%), YTN(2.3%), MBC(1.1%), 한국일보(1.0%), CBS(0.7%), 동아일보(0.4%) 등이 뒤를 이었다. 무응답은 22.0%였다. 한겨레는 2006~2007년, 2009~2011년, 2013~2014년 기자협회 조사에서 신뢰도 1위에 올라 이번까지 총 8회 기자들이 신뢰하는 언론사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11일 전국 현역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법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5.7%포인트였다.
--------------------------------------------------------------------------------------
“기자들, 사명감 잊고 샐러리맨 전락” 82.9%
기자들이 기자의 사명감과 책무를 잊어버리고 ‘샐러리맨’이 되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82.9%가 ‘동의한다’(적극 동의 16.5%, 어느 정도 동의 66.4%)고 응답했고, ‘동의하지 않는다’(전혀 동의 안함 3.9%, 별로 동의 안함 11.3%)는 답변은 15.2%에 지나지 않았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신문(84.4%), 지역(88.0%), 직급별로는 부장·부장대우(87.5%), 차장·차장대우(84.8%)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1~2년간 사기 저하” 56.4%
기자들 56.4%는 ‘편집·보도국 내 기자의 사기가 최근 1~2년간 저하됐다(매우 저하 16.8%, 저하된 편 39.6%)’고 답했다. ‘상승했다’(매우 상승 1.6%, 상승한 편 6.3%)는 응답은 7.9%에 그쳤다. 사기가 저하된 이유로는 29.6%가 ‘언론사 경영위기(구조조정 및 임금하락)’를 꼽았고 ‘언론사와 언론인의 여론 영향력 축소’ 19.8%, ‘업무를 통한 성취감 및 만족감 부재’ 16.3%, ‘언론인으로서 비전 부재’ 13.2%, ‘언론인으로서 자율성 감소’ 10.6%, ‘많은 업무량’ 4.7%, ‘광고와 영업활동 부담’ 3.4% 등 순이었다.
“수익사업 참여했다” 39.5%
‘소속된 회사가 주최한 포럼이나 광고 협찬 등 수익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기자들 39.5%가 ‘참여한 적이 있다’(자주 참여 8.7%, 가끔 참여 30.8%)고 응답했다. ‘참여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지역민방(66.7%), 경제신문(56.4%), 지역일간지(52.2%)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참여한 적이 없다’(별로 없음 36.8%, 전혀 없음 22.8%)는 59.6%로 나타났다.
“대기발령·명퇴 불필요” 64.9%
최근 일부 언론사에서 경영상 이유로 50대 이상 시니어 기자들을 대기발령 하거나 명예퇴직을 받고, 권고사직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기자들 64.9%는 대기발령이나 명예퇴직 또는 권고사직이 ‘필요하지 않다’(불필요 49.0%, 전적으로 불필요 16.0%)고 응답했고, ‘필요하다’(전적으로 필요 3.3%, 대체로 필요 30.5%)는 답변은 33.8%로 나타났다.
뉴스룸 고령화 대책에 대해서는 59.7%가 ‘선임기자 및 전문기자 제도 활성화’를 꼽았고, ‘재교육 후 취재일선 배치’ 22.8%, ‘본인의 콘텐츠 생산 능력 확대’ 17.0%, 기타 0.5% 차례였다. ‘선임기자 및 전문기자 제도 활성화’는 6년차 이상 10년차(62.2%), 11년차 이상 15년차(70.1%), 16년차 이상 20년차(74.9%)에서 높게 나타났다.
언론자유 제한 광고주 1순위
기자들은 언론자유를 직간접적으로 제한하는 요인으로 ‘광고주’(36.5%)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정부·정치권력’(22.0%), ‘사주·사장’(21.0%), ‘기자 자신의 자기검열’(7.5%), ‘편집 보도국 간부’(5.0%), ‘법·제도’(2.6%), ‘독자·시청자’(2.3%)차례였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