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홍우 서울경제신문 기자
선배가 아직도 그렇게 연락처를 정리하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초년병 시절에 본 그 연락처는 10년차가 된 지금도 나의 게으른 기자 생활을 가끔 돌아보게 한다. 조선비즈 전재호 정책팀장은 그렇게 촘촘한 기자다. 오랜 기간 지근거리에 있었고, 때로는 친구 같은 편한 선배기도 하지만 늘 귀감이 됐다.
사실 전 선배는 신문기자 출신으로 보기에는 이례적일 만큼 훤칠한 외모도 갖췄다. 모델 같은 외모에 나직한 목소리, 예의 바른 태도가 신문기자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한 게 한 두 번이 아니다.(나를 포함, 다른 기자들은 못생기고 예의 바르지 못하다는 것은 아니다^^) 외모랑 분위기, 행동이 일치되는 사람이기에 더 끌렸던 것 같다. 물론 이 글에서는 담을 수 없는 빈틈(?)도 있다.
단순한 호감도 때문에 전 선배를 이 글에 담은 것은 아니다. 기자는 결국 기사로 말하는 것. 같은 출입처에서 경쟁하고 비슷한 사안을 취재하면서 선배의 기사에 무릎을 쳤던 것은 기사에서 보이는 노력의 흔적이다. 팩트(사실)든, 시각(분석)이든, 새로운 취재원이든 전 선배의 기사는 항상 한 가지 이상은 더 담고 있었다.
말 그대로 기사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시대다. 베껴 쓴 기사들이 수백 개씩 인터넷에 올라온다. 많은 기자들은 베껴 쓰기에 무감각하다. 그러나 적어도 기자라면 자신의 기사를 만들 줄 알아야 한다. 그게 기자로서 ‘프로 정신’이다. 그 점에서 전 선배의 기사는 배울 게 있었다. 취재의 기본을 지키고 성실하게 관계를 쌓을 때 결국 특종이 나온다. 전 선배~ 제가 항상 지켜보고 있으니까 늘 긴장하세요. 세종시에서 올라오면 소주 한잔 합시다.
<윤홍우 서울경제신문 기자>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