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예산 의존 벗고 콘텐츠 경쟁력 키워야
[지역언론, 희망을 찾아서]②혁신의 새 옷을 입어라
'관언유착'이 지역언론 난립 원인
지역밀착 정보·사업 다각화 필요
모바일 활용해 지역뉴스 알려야
지역 언론의 위기는 뿌리가 깊은 만큼 뚜렷한 해결 방법을 찾기도 쉽지 않다. 열악한 경영환경, 저임금·고노동, 말뿐인 편집권 독립, 지방자치단체 및 토호세력과의 유착 등 일일이 열거하기 힘든 문제들이 고질적인 병폐로 남아 있다.
지역 언론의 가장 큰 문제는 신문사의 난립이다.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역신문현황을 보면, 일례로 경기도에만 12개의 일간지와 92개의 주간지가 있고, 인구 200만이 채 안 되는 전남에는 12개의 일간지와 43개의 주간지가 있다. 지역신문사 중에는 전체 인원이 3명에 불과한 곳도 있고, 유료부수가 500부가 채 되지 않는 곳도 적지 않다.
지역신문 난립 구조의 핵은 ‘관언유착’이다. 협소한 지역의 광고시장에서 지자체는 지역 언론의 최대 광고주이자 ‘숙주’ 역할을 한다. 2013년 지역신문 정기 구독률은 8.8%. 2008년 4.4%로 최저점을 찍은 뒤 성장세에 있지만 10%를 밑도는 신세다. 지역신문은 지역주민 독자를 늘리기보다는 손쉽게 지자체 홍보예산을 받아 생존하는 전략을 취한다. 경영이 어려울수록 관언유착은 심화되고 광고주 예속은 강화된다. 이는 신문의 신뢰를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독자로부터 외면당하는 악순환을 가져온다.
김택환 경기대 언론미디어학과 교수는 “지역 언론사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업 다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 교수가 제안하는 지역신문 경영 혁신 전략의 초점은 ‘멀티’다. 미디어 경영과 뉴스 제작, 플랫폼 서비스 전략 모두 ‘멀티’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세계 미디어 산업의 화두가 ‘디지털 퍼스트’를 넘어 ‘모바일 센트릭’으로 이행하는 시대에 지역 언론도 언제까지나 종이신문과 TV 스크린만 붙들고 있을 수만은 없다. 특히 모바일은 개인화가 극대화된 미디어이기 때문에 지역 밀착형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역 언론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최근엔 국내 지역 언론사들 중에도 크로스 미디어 전략을 꾀하며 독자들과의 ‘디지털 스킨십’을 늘려가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부산일보는 지난해 10월 지역 언론 최초로 부산지역의 석면 문제를 인터랙티브 뉴스로 제작했고, 경북 성주지역 인터넷언론인 성주신문은 IPTV에 성주방송이란 이름의 지역방송국을 개국해 수익구조 및 경영환경 개선에서도 효과를 봤다.
‘지역밀착’ 언론의 모범사례로 꼽히는 경남도민일보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면에서도 앞서가는 편이다. 지난해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가 ‘에버그린 콘텐츠’ 활용을 제안하자 발 빠르게 자체 DB를 활용한 ‘지난 기사 새로 쓰기’ 코너를 선보였고, 최근엔 김주완 국장이 다음의 ‘뉴스펀딩’에 지역 언론 가운데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다.
기자들이 직접 나서기도 한다. 전국MBC기자회가 페이스북에 자체적으로 만든 지역MBC 뉴스 포털인 ‘All MBC’는 서울MBC 뉴스 페이스북의 2배에 달하는 2만4000여명의 팬을 거느리고 있다. 지난해 11월 광주MBC가 제작한 ‘법정을 울린 세월호 동영상’ 기사는 조회 수가 약 90만에 근접했고, ‘좋아요’는 2만여 명에 달했다. 지역MBC 한 중견 기자는 “기자들은 다양한 채널과 방식을 동원해 지역 뉴스를 알리기 위해 안간힘인데, 경영진은 비용 절감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며 “시청자를 찾아갈 생각은 않고 기존의 뉴스 제작 관행만 반복한다면 고사 위기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