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스탠드 도입에 언론사 '패닉'

"문 닫는 매체 나올 수도"…네이버 "지켜봐야"

  • 페이스북
  • 트위치

   
 
  ▲ 네이버 뉴스스탠드 초기 화면. 이용자가 직접 52개 언론사를 선택해 구독하는 방식이다.  
 
NHN이 1일 오후 2시부터 기존 뉴스캐스트를 완전히 폐지하고 뉴스스탠드를 시행하면서 언론사들이 패닉 상태에 빠졌다. 2009년부터 NHN의 첫 얼굴을 장식하던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뉴스스탠드’로 바뀌면서 언론사에 따라 50~70%의 방문 트래픽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생각한 것보다 심각하다”며 대책마련에 절치부심하는 모습이다.

‘뉴스스탠드’는 기존 언론사의 기사 제목으로 구성되던 뉴스캐스트 서비스를 이용자가 선택한 언론사로 채우게 했다. 이용자가 52개 언론사 가운데 선택한 언론사의 로고가 네이버 뉴스박스 메인 페이지에 뜨고, 로고를 클릭하면 각 언론사의 홈페이지 상단 주요 뉴스가 뜬다. 이용자가 직접 ‘MY뉴스’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트래픽 최대 90%까지 감소
NHN은 지난해 10월 개편을 예고한 이후 6개월여에 걸쳐 시범 서비스를 진행했다. 시범 서비스 기간 사용자의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다. ‘낚시성’ 기사가 사라져 좋다는 긍정적 의견들도 주를 이뤘지만 클릭의 번거로움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컸다.

NHN은 실제 뉴스스탠드 전환율이 예상보다 미미하자 당초 3월1일로 정했던 뉴스캐스트 서비스 종료일을 한 달 유예하는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지난 1~2월 뉴스스탠드 PV(Page View·페이지뷰)는 약 1340만 건으로 네이버 전체 PV의 1% 수준에 그쳤다.

지난 1~2일 이틀간 언론사 접속 로그기록 데이터를 종합해보면 메이저신문사 트래픽은 20~30%가 감소했고, 마이너 종합일간지, 인터넷언론사 및 전문지 순으로 트래픽 폭이 50~90%까지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종이신문의 영향력이 뉴스스탠드에 대체로 구현되는 모양새다.

이 가운데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언론사들의 경우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광고 배너를 클릭해 광고수익을 올리는 CPC(Cost-Per-Click) 방식이나 1000회 노출 기준으로 광고를 책정하는 CPM(Cost-Per-Mile) 방식 모두 자사 유입 이용자들이 급감할 경우 수익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낚시성 기사에 경품 경쟁까지
사정이 이렇다보니 언론사 별로 선정적인 낚시성 기사를 올리거나 ‘MY뉴스’ 설정을 위해 경품 이벤트까지 실시하고 있다. 한 언론사는 “OO을 MY뉴스로 설정하면 선물이 펑펑”이라며 경품으로 디지털 카메라, 블랙박스, 뮤지컬 티켓 등 경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실시하기도 했다. 그만큼 MY뉴스 설정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반면 이용자들은 불편을 느끼고 있다. ‘뉴스스탠드 없애기’ ‘뉴스스탠드 제거’와 같은 연관검색어가 네이버에 올랐다. 또 다음, 네이트 등의 포털은 1, 2일 순방문자 수가 소폭으로 상승해 뉴스스탠드 시행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었다.

언론사 한 관계자는 “언론사들의 이용자 감소가 장기화 될 경우 2009년 뉴스캐스트 이전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며 “신문사를 중심으로 NHN에 뉴스이용자 감소에 따른 보상책을 마련하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진순 한국경제신문 전략기획실 차장은 뉴스스탠드에 대해 △언론사 트래픽 회복 불가능 △네이버 사용자 이탈의 가능성 고조 △언론사의 대(對)포털 전략 수정 계기 △사용자의 포털 뉴스소비 양식 변경 여지 등을 전망했다.

최 차장은 “경우에 따라서는 올해 안에 없어지는 매체가 생길 수도 있다”며 “마케팅 프로모션 차원에서 유치된 독자가 진성독자일 수 없다. 뉴스 선택을 받아야 하는 언론사들의 고민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스스탠드 성패 판단 시기상조”
이처럼 언론사들이 볼멘소리를 하고 있지만, NHN에서도 그동안 트래픽과 편집권을 언론사로 넘겨주며 이익을 제공했다는 입장이다. 뉴스포털 초기 NHN이 뉴스편집을 직접 하는데 반발하자 이를 언론사들이 편집할 수 있는 뉴스캐스트로 열어줬고, 지난 4년간 이를 통해 마이너 언론사들은 자신의 영향력보다 높은 트래픽을 기록하며 수익을 올렸다.

뉴스캐스트 시행 초기 의도치 않게 뉴스방문자가 늘어나자 “서버 증설비를 네이버에 요구하자”는 움직임을 벌이기도 했다. 뉴스스탠드 시행 초기인 현재, 신문사를 중심으로 “뉴스스탠드 시행으로 인한 피해보상”을 요구할 대응논리가 마땅치 않은 것도 언론사들의 고민이다.

NHN에서는 이용자들이 ‘MY뉴스’ 설정이 익숙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개별 언론사의 충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용자의 뉴스소비 패턴이 변할 수 있다고 입장이다. 또 이용자들이 실시간 뉴스검색으로 뉴스를 찾아보거나, 네이버 뉴스 섹션으로 들어가 뉴스를 이용할 수도 있는 등 NHN의 의도치 않은 외부효과도 점쳐지고 있다.

윤영찬 NHN 미디어센터장(이사)은 2일 통화에서 “2009년에 뉴스캐스트를 시행했을 때 언론사 이용자들이 감소하다가 만회됐기 때문에 지금 뉴스스탠드의 성패를 논하기는 시기상조”라며 “순방문자(UV·Unique Visitor)는 줄었지만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인당 페이지뷰(PV)가 늘어나는 점은 지켜볼 만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원성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