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4년 직장폐쇄로 폐간된 후 우여곡절을 겪었던 충청일보(대표 임재업)가 복간을 준비하고 있다. 작년 10월 4일 제호 보호를 위해 4~5일 정도 발행한 이후 두 번째다.
그러나 복간에 대한 이야기만 파다할 뿐 어떤 형태로 언제 복간할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지역 언론계의 궁금증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충청일보 제호를 소유하고 있는 임 대표(충청일보 전 편집국장)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발행을 준비하고 있지만 기자도 뽑지 않은 상태여서 지금은 뭐라고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디지털 충청일보를 통해 기사가 나오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임 대표는 “발행 준비에 있어 연습하고 있는 상태고 충청닷컴과 협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충청일보에 근무했던 한 기자는 “현재 정상적인 발행이 불가능한데도 복간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며 “2004년 파업 중일 때 전부 외주를 주는 방식으로 발행한 적이 있는데 그것을 모델로 해서 발행하려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복간을 하더라도 충청일보의 향후 전망은 송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지난해 제호양수양도 계약을 맺은 ‘G7soft(회장 이규택)’측과 소송이 1년이 넘게 진행 중이다. 또 2004년 당시 기자들의 파업과 이에 직장폐쇄로 맞선 사측 간에 노조가 ‘부당해고소송’과 사측이 ‘부당노동행위소송’을 각각 행정법원에 항소한 상태다.
이와 더불어 새충청일보 구성원 및 충청일보에 채권을 가지고 있는 직원들이 임 대표가 보유한 제호에 대해 양도무효소송의 법적인 검토를 하고 있고 복간됐을 경우 발행 중지 가처분 신청까지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충청일보에 대한 송사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지역 언론계 일각에서는 “신문 지국장에게 계약을 맺었을 경우 기자직을 준다는 제안이 확인됐다”며 “제호가 있기 때문에 복간해 놓고 자금을 모으는 등 방법을 구상하려는 것이 아니겠냐”며 의구심을 내비쳤다.
한편 2004년 11월 폐업한 충청일보는 기자들의 계속된 제호 양도 요구에 불응했고 이에 충청일보 출신 기자들이 지난해 8월 새충청일보를 창간했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