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 10명 중 6명은 뉴스를 생산할 때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직까지는 음성파일의 텍스트 변환이나 외국어 기사·자료의 번역 같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려대 미디어학부 박아란·신혜린 교수와 이나연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가 최근 발표한 ‘생성형 AI 시대 언론사와 언론인의 역할 재정립’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업무 중 생성형 AI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언론인은 62.2%였다. 부서별로는 과학/IT부(80.0%)와 디지털뉴스팀(79.4%)의 활용 경험이 많았고, 사회부(44.6%)와 지역/전국부(51.0%)는 상대적으로 활용 경험이 적었다.
뉴스 생산 과정을 ‘자료 수집 및 기획 단계’, ‘기사작성 단계’, ‘기사 배포 단계’로 구분했을 땐 대체적으로 자료 수집 및 기획 단계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경험이 많았다. 구체적으로 ‘녹음된 자료를 텍스트로 전환(84.0%)’하거나 ‘외국어로 된 기사 및 자료를 번역(74.9%)’할 때 AI를 많이 사용했고, ‘오탈자·문법 오류 체크(68.9%)’ 및 ‘취재 관련 자료·사례 탐색(59.6%)’ 때도 활용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녹음된 자료의 텍스트 변환 기능은 정치부와 사회부 기자의 활용 경험이 많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들 부서의 기자들이 취재원의 발언을 녹음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기사화하기 위해 텍스트로 전환하는 일이 잦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자들은 분석했다.
한 응답자는 심층 인터뷰에서 “과거 기자들은 취재원과 통화나 인터뷰 후에 음성녹음을 텍스트로 옮기는 데 굉장히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썼다”며 “그런데 네이버의 클로바노트 등 음성에서 문자로 변환하는 AI 기술을 통해 이 작업이 쉬워지면서 굉장히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절약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시간을 절약하게 되면 기자는 취재를 위해 시간을 더 활용할 수 있고 기사를 촘촘히 검토해볼 시간도 얻게 된다”고 말했다.
다만 언론인들은 보조적인 업무 이외에 기사작성과 같은 기자 본연의 업무 영역에선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것을 꺼렸다. ‘생성형 AI가 제공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문장으로 활용’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8.1%로 동의한다는 응답 22.0%를 크게 웃돌았고, ‘팩트 체크’나 ‘취재 아이템 구상 및 제안’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더 많았다. 흥미로운 것은 부정적 응답이 많았던 이 업무들을 응답자들이 저널리즘의 핵심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응답자들은 저널리즘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기사 아이디어 발굴 혹은 기획’, ‘수집된 자료나 정보의 사실 확인’, ‘기사에 사용될 자료 수집 및 취재’를 높은 순위로 꼽았다.
한편 언론인들은 생성형 AI 사용 시 타인의 저작권 침해나 허위정보, 인격권 침해에 대해서도 높은 우려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공지능을 활용해 기사를 작성했다면 그 표시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도 대부분 동의했다. 다만 표시를 위한 라벨링 기준에 대해선 의견이 나뉘었다. 한 응답자는 심층 인터뷰에서 “‘이 기사는 AI를 활용해 작성했습니다’와 같은 문구의 효용성과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 사실 잘 모르겠다”며 “데이터를 활용해 기사를 썼다고 해서 ‘이 기사는 데이터를 활용해 작성했습니다’라고 쓰지는 않는다. AI를 썼다고 명시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AI를 어떻게 썼는지를 밝히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언론인들은 생성형 AI가 취재 관행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대체로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구체적으로 취재 과정에서 사람 취재가 줄어들고, 사실 확인이 소홀해질 것이며 초벌 기사를 AI에 의존하게 되면서 글쓰기 능력이 떨어질 것이라 우려했다. 또 저널리즘 산업적으로 보더라도 저품질 기사가 급증하고, AI에 의존한 소규모 언론사가 늘어나며 AI 개발 능력을 갖춘 언론사와 그렇지 못한 언론사 간 격차가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다. 다만 AI가 기자들의 업무를 돕고 잡무를 줄여주는 등 전반적인 효율성 향상에는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자들은 “AI가 저널리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별 언론사 차원에서 AI 사용에 대한 명확한 내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며 “언론단체나 언론협회 차원에서도 AI 사용에 대한 공동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이를 전 언론사에 권장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16일부터 9월14일까지 약 4주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됐다. 설문엔 국내 언론인 418명이 참여했으며, 연구자들은 여기에 더해 현직 언론인 및 언론 관련 AI 업체 대표자 등 전문가 15명을 심층 인터뷰해 생성형 AI가 저널리즘에 미치는 실체적 영향을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