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 생존과 경인지역 시청권 사수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5일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OBS 광고제도 개선을 위한 방송통신위원회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OBS노조)
‘OBS 생존과 경인지역 시청권 사수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5일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OBS 광고제도 개선을 위한 방송통신위원회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공대위는 이날 기자회견문을 통해 “고사 위기에 빠진 OBS의 가장 큰 원인은 방송통신위원회 정책 차별”이라며 “(방통위원장이) 국정감사장에서 한 약속대로 이번 용역을 통해 OBS가 경인지역 시청자들을 위한 방송으로 거듭날 수 있는 경영기반을 만들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지난달 14일 국정감사에서 “현재진행중인 연구용역에서 자체편성이 높은 지역방송이 제대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제대로 검토해야한다”는 최원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질의에 “그렇게 하겠다”라고 답변했다.
방통위는 이달 중 미디어미래연구소가 작성한 연구용역에 대한 내부보고를 마친 뒤 방송광고 균형발전위원회를 거쳐 해당 내용을 최종 확정하고 이를 내년도 결합판매고시 제정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OBS는 현재 자금본 1431억원 중 97%이상 잠식당했다. 이 때문에 지난 7년 간 방송 인력이 32%나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공대위는 3년 7개월 간 서울지역 역외재송신 지연, 종합편성채널과의 차별 정책, OBS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든 광고결합판매 비율 등 방통위의 정책 차별이 OBS 위기를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강성남 언론노조 위원장은 “종편은 종일편파방송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음에도 온갖 특혜를 다 받고 있다. 바꿔 이야기하면 종편은 정권에 필요한 방송이지만 OBS는 그렇지 않다는 의미다”라고 반문하며 방통위의 왜곡된 정책을 꼬집었다.
이어 새언론포럼 현상윤 회장은 “최성준 방통위원장은 OBS에 대해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겉 다르고 속 다른 눈가림 행정을 하고 있다”며 “OBS에 대한 결합판매비율은 일종의 상한선이 되어서 공정경쟁 여건을 없애고 있다”고 주장했다.
OBS지부 이훈기 노조위원장은 “OBS의 경영난은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었고 만들고자 하는 방송은 점점 멀어져 갔다”며 “방통위가 또 다시 연구용역을 핑계로 차별 정책을 이어나간다면 생존권과 시청권 사수 모두를 위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대위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의 면담을 요청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