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의제설정…편집국 역동성 되살리겠다”

김명호 국민일보 편집국장 “여론 주도·사회 개선 역할 다해야”

  • 페이스북
  • 트위치
   
 
  ▲ 김명호 국민일보 편집국장
(사진=이동희 국민일보 기자)
 
 
“상당한, 그리고 엄중한 중압감을 느낀다.”
취임한 지 한 달여. 김명호 편집국장은 국민일보의 재도약을 구상하고 있다. 1988년 공채 1기로 국민일보 25년 역사를 함께 해온 김 국장은 “최강의 편집국을 꾸릴 것이다. 그렇게 할 자신도 있다”고 단언했다.
언론계에서는 국민일보가 지난해 6개월 총파업 이후 아직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내부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다수 기자들은 김 국장과의 일대일 면담에서 “딛고 일어설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해달라”고 입을 모았다.

김 국장은 취임 직후 부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사진부장을 제외한 전원 교체였다. 김 국장은 “편집국의 역동성을 살리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첫 회의에서는 의제 설정을 무엇보다 강조했다. 특종이 있다면 무조건 가져오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단순한 전달의 기능은 방송이나 인터넷이 대신하고 있다. 신문은 활발한 의제 설정을 통해 여론을 주도하고 사회를 개선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던 ‘진영 파동’ 단독 기사는 최근 청와대로부터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했다. 이에 권력기관이 언론자유를 위축시키려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김 국장은 “주변의 여러 정황을 취재해 상당히 탄탄한 근거를 가진 기사였다”며 “공적인 영역에서 충분히 보도할 만한 가치가 있었다. 반론권도 충분히 보장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일보는 새로운 영역으로의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 문화부·체육부·대중문화팀 등이 배치된 ‘디지털미디어센터’를 통해 온·오프라인 콘텐츠를 동시에 생산한다. 지난달 30일부터는 온라인으로 영문뉴스를 제공하고 있다. 뉴스 유료화도 회사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김 국장은 “언론 환경이 예전보다 훨씬 열악해졌고, 업무 부담도 늘었다. 그런데도 후배 기자들이 아주 잘해주고 있다”고 했다.

아쉬운 점은 SNS의 확산으로 인해 구성원이 얼굴을 마주할 시간이 줄었다는 것이다. “소통의 양과 질이 많이 떨어졌다. 이 때문에 선후배간의 끈끈한 정이 옅어지지 않을까 염려된다. 그러나 소통을 위해 인위적인 이벤트를 마련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우리는 기자니까 현안 토론, 의견 교환을 위한 자리를 자주 마련하겠다.”

국민일보가 중앙 종합일간지로서 뚜렷한 족적을 남기고 있지 못하다는 외부 평가도 극복해야 할 숙제다. 김 국장은 “25년간 상당한 성과도 있었지만 미흡한 부분도 있었다”며 “저평가를 바로 잡는 것은 저의 몫, 그리고 우리의 몫”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후배기자들에게 ‘전지적 작가 시점’을 가질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남들이 현안을 수평적으로 바라볼 때 기자는 좀 더 높은 곳에서 이면의 진실을 조망해야 한다. 이러한 기자 개개인의 소통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편집국장의 가장 큰 임무다.” 김희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