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구 교수 발언파문’ 신문사설 분석

색깔론 공세 vs 국보법 폐지

  • 페이스북
  • 트위치
   
 
   
 
동아·조선 ‘국보법 무력화 기도’ 의제화 총력

경향·한겨레 여론몰이 주도한 일부 언론 비판




‘강정구 교수의 발언파문’이 검찰총장의 사퇴로 이어지는 등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신문들도 강 교수와 관련해 파생된 뉴스를 특종이라도 하듯이 연일 쏟아내고 있다.

동아 조선 등은 이번 일을 계기로 보수세력을 결집하고 국가보안법 사수를 의제화 하겠다는 듯이 ‘색깔론 공세’를 폈다. 반면 경향과 한겨레 등은 이러한 조선 동아의 태도를 맹비난하며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했다.

실제로 동아 조선 등은 강 교수의 발언을 연일 의제화하고 법무장관의 검찰수사지휘권 부당성을 집중 성토했다.

이들은 강 교수를 친북좌익으로 규정하고, 그를 옹호하는 정권도 마찬가지라는 논리를 폈다. 특히 이들 신문사들은 사설을 통해 청와대와 정부·여당을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강정구 교수는 왜 대한민국에 있는가’에서 ‘친북좌파 돌보는 게 검찰보호인가’, ‘강정구 보호막치기 뭘 하자는 건가’ 등에 이르기까지 연일 ‘색깔론’을 폈다.

조선일보는 ‘강 교수는 ‘경애하는 지도자 동지’의 품에 안기라’, ‘차라리 국군 살해 빨치산에게 영웅훈장을 주라’ 등 명령체로 제목을 뽑았다.

조선은 또한 17일에는 무려 3개의 사설을 동시에 게재해 ‘청와대 및 반미상업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중앙일보의 논조도 동아, 조선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중앙은 천정배 법무장관의 검찰수사지휘권을 반대했으며, 강 교수발언에 대해서도 “잇따른 망발을 왜 방치하느냐”고 질타했다.

이와 달리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사설을 통해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조중동’ 등의 색깔론 덧씌우기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경향은 14일 ‘중요한 것은 국가보안법 폐지다’라는 사설을 통해 “이번 사건의 본질은 마땅히 폐지돼야 할 보안법으로 학자의 저작을 옭아매는 反자유민주주의인 것”이라며 “(따라서)국가보안법을 폐지하는 것이 해답이다”고 주장했다.

한겨레도 같은 날 이례적으로 1면에 통단사설을 게재했다. 한겨레는 ‘지휘권 발동 생산적 논의’란 사설을 통해 “국가보안법은 자유민주주의의 기본명제를 정면으로 부정한다”며 “이제 정치권, 특히 열린우리당은 이번 사태가 보안법 논쟁으로 치닫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이 법의 폐지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신용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