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2014년 이후 영향력 첫 하락… 조선일보 영향력 7%p 상승

[한국기자협회·한길리서치 기자 여론조사]
'기자가 신뢰하는 언론' JTBC 3년 연속 1위… 완만한 하락세

  • 페이스북
  • 트위치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는 3년 연속 JTBC로 나타났다. 하지만 JTBC의 신뢰도와 영향력은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다. 기자협회보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8일 기자 703명을 대상으로 언론사 신뢰도를 조사(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56%포인트)한 결과, JTBC가 19.9%로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한겨레 11%, 연합뉴스 8.5%, 조선일보 6.7%, KBS·SBS 각각 5.4%, 한국일보 4.7%, 경향신문 4.1%, 중앙일보 3%, YTN·뉴스타파 각각 1.8%, MBC 0.8% 등 순이었다. 기타 7.5%, 잘모름·무응답 19.4%였다.


1위를 차지한 JTBC 신뢰도는 2017년(30.3%), 2018년(22.3%)에서 올해 20%대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3위로 조사됐던 한겨레가 2위로 올라서고 지난해 2위였던 KBS는 5위로 하락했다.


JTBC는 영향력 조사에서 29.6%로 1위를 차지했고, 조선일보가 23.2%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KBS 13.4%, 연합뉴스 12.9%, SBS 5.1%, 중앙일보 1.8%, 한겨레 0.6%, MBC 0.4%, YTN 0.3% 순이었다. 기타 6.0%, 잘모름·무응답 6.7%였다. 2014년 1.6%에 불과하던 JTBC 영향력은 2015년 4.2%, 2016년 11%, 2017년 27.4%에서 2018년 41%까지 매년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올해는 29.6%로 작년보다 11.4%포인트 떨어졌다. 조선일보의 영향력은 작년(15.4%)보다 7.8%포인트 올랐다.



신뢰도와 영향력 조사에서 연합뉴스와 SBS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신뢰도는 2017년 1.2%, 2018년 5.2%에서 올해 8.5%로, 영향력은 2017년 3.3%, 2018년 8.2%에서 올해 12.9%로 상승했다. SBS의 경우 신뢰도는 2018년 4.3%에서 올해 5.4%, 영향력은 2017년 2.7%, 2018년 3.3%에서 올해 5.1%로 상승했다.


디지털 전략을 가장 잘 실천하는 언론사로는 SBS가 2016년부터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SBS 26.8%, 중앙일보 21.5%, JTBC 12.3%, 조선일보 3.5%, 한겨레 2.5%, 머니투데이 1.5%, YTN 1.2%, 경향신문·한국일보 각각 0.9%, KBS·CBS 각각 0.8% 순이었다. 기타 5.9%, 잘모름·무응답 21.4%였다. 매체별로 차이가 났는데, 방송기자들은 53.4%가 SBS, 신문기자들은 25.3%가 중앙일보를 1위로 꼽았다.


디지털 전략을 잘 실천하는 언론사로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선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가 3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전사적 투자 16.8%, 디지털 실험 장려·지원 16.2%, 디지털 전담인력 충원 9.7%, 통합CMS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 8.0% 순으로 응답했다. 디지털 전략 실행 걸림돌에 대해선 28.8%가 인력부족 및 보상제도 부재를 꼽았다. 다음으로 수익모델 부재 24.1%, 포털·SNS 등 외부 플랫폼 의존 심화 22.8%, 다양하지 못한 디지털 콘텐츠 11.3% 등이었다.



◇1~2년 사이 기자 사기 뚝 떨어져
최근 1~2년 사이 기자들의 사기는 대체로 저하된 편이었다. 저하됐다고 응답한 기자는 86.2%(‘저하’ 34%, ‘저하된 편’ 52.2%)로 상승했다는 기자 2.6%(‘상승한 편’ 2.4%, ‘매우 상승’ 0.2%)보다 월등히 많았다. 매체별로는 온라인매체(90.3%), 중앙일간지(90.1%) 기자들의 사기 저하 비율이 높았다. 부서별로는 편집부(94.2%)와 정치부(91%)에서 높았다.


사기가 저하됐다고 응답한 기자들을 대상으로 사기 저하 이유에 대해 물었다. 중복 답변 결과, 첫 번째 이유로 39.1%가 낮은 임금과 복지라고 지적했다. 다음으로 기자에 대한 사회적 평가 하락 36.8%, 언론의 사회적 영향력 축소 26.2%, 과중한 업무량과 노동강도 25%, 업무를 통한 성취감 및 만족도 부재 24.8%, 미래에 대한 불안 23.6% 등 순이었다. 세부 매체별로 기자들의 응답이 다른 특징을 보였다. 중앙방송 기자들은 기자에 대한 사회적 평가 하락(51.3%), 지방일간지 기자들은 낮은 임금과 복지(62.4%), 스포츠신문 기자들은 업무를 통한 성취감 및 만족도 부재(55.6%)를 사기 저하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기자 직업에 대한 만족도 질문에는 52%가 만족한다(‘매우’ 8.9%, ‘대체로’ 43.1%)고 답했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17.2%(‘전혀’ 3.2%, ‘별로’ 14%), 보통이다는 응답은 30.8%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에 참여한 기자들의 직업 만족도는 56.1%였다.

◇스포츠신문 기자들 전직 의향 40%
언론사를 그만두고 직업을 바꿀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25.3%가 많다(‘매우’ 10.3%, ‘대체로’ 15%)고 답했다. 36.6%는 없다(‘전혀’ 9.5%, ‘없는 편’ 27.1%)고 응답했고, 반반이다는 36.4%로 나타났다. 매체별로는 스포츠신문 기자들의 전직 의향이 40%로 가장 높았다. 언론 경력별로는 6~10년차와 16~20년차 기자들의 전직 의향이 가장 높아 27.9%였다.


기자들은 주로 네이버로 뉴스나 시사정보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일주일 동안 인터넷으로 뉴스나 시사정보를 읽을 때 어느 사이트에 주로 접속하느냐는 질문에 68.5%가 네이버라고 답했다. 이어 다음(카카오) 17.8%, 언론사 홈페이지 5.1%, 페이스북 3.8%, 유튜브 2.3% 순이었다. 본인이 작성한 기사를 주로 검색하는 매체도 네이버(62.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사 홈페이지 21.1.%, 다음(카카오) 8.2%, 자사 CMS 5.2% 등 순이었다.


기사 이외에 유튜브나 블로그, 브런치 등에 콘텐츠를 올리는 활동을 하느냐는 질문에 22.6%가 하고 있다고 답했다. 향후 의향이 있다 29.7%, 한 적도 없고 향후 의향도 없다 25.2%로 나타났다.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