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숙 의원 "KBS 방송작가 중 1.9%만 고용계약서 써"

[KBS국정감사]

  • 페이스북
  • 트위치

KBS 방송작가 중 고용계약서를 작성한 비율이 1.9%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마저도 정부가 내놓은 ‘표준계약서’로 체결한 경우는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KBS 국정감사에서 바른미래당 박선숙 의원은 “아예 KBS 구조 밖에, 어떤 법적보호도 받지 못하는 분들이 대부분이란 소리”라며 이 같이 지적했다.

 

박 의원이 지난 18일 KBS로부터 받은 제출자료에 따르면 KBS의 전체 방송작가 691명 중 고용계약서를 작성한 비율은 1.9%(13명)에 불과하다. 본사에서 일하는 극히 일부 방송작가만 고용계약서를 작성했고, 지역총국에선 계약서를 작성한 사례 자체가 없었다.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 임금체불 및 불공정행위가 발생해도 신고하고 구제할 수 있는 근거가 없고, 불안정한 고용관계에서 부당한 업무를 감수해야 하는 등 여러 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제작 전 급여나 출퇴근시간, 휴가, 업무 내용 등 구체적인 노동조건을 알지 못한 채 근무하게 돼 계약으로 보호되는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방송작가들이 작성한 계약서는 모두 일반 고용계약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말 문화체육관광부가 공정한 방송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방송사는 물론 여러 정부 부처와 협의, ‘방송 작가 집필 표준계약서’를 제정‧발표했다. 당시 KBS는 당시 18번 회의 중 17차례나 참석해 의견을 개진했지만 이후 이에 따라 방송작가와 계약을 체결하진 않은 것이다.

 

두 계약서를 비교해보면 계약해지, 원고료, 저작권 등 측면에서 작가가 받는 대우에는 상당히 큰 차이가 있다. 현재 아리랑TV(국제방송교류재단)와 KTV(한국정책방송원)의 경우 앞선 방침에 따라 방송작가와 계약을 시행하고 있는 상태다.

 

양승동 KBS사장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이 건과 관련해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TF를 구성해 준비해 왔고 10월 중 전 작가에 대해서 계약서를 쓰기로 했다. 모두 표준계약서로 쓰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저한테 제출한 자료는 표준계약서가 아니라 13명에게만 적용하고 있는 고용계약서였다. 들으신 얘기가 완전한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법적책임을 회피하려는 그런 계약서는 안 쓰는 게 나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체부가 당시 KBS를 참석시킨 건 KBS가 모범을 보이면 다른 곳도 이에 조응해 길을 열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가져서다. 방송사 미래는 콘텐츠고 콘텐츠는 서사의 힘인 만큼 미래지향적 태도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