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논문에 자녀 끼워넣기' 기획력 돋보인 역작 '호평'

제328회 이달의 기자상 심사평 / 기자상 심사위원회

  • 페이스북
  • 트위치

제328회 이달의 기자상에는 10개 부문에 60편의 작품이 출품돼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엄정한 심사 끝에 8편의 당선작이 최종 선정됐다.

 

취재보도부문에선 JTBC의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고 관련>이 심사위원들의 호평을 받았다. 상급종합병원인 대학병원 중환자실조차도 감염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사고 이후 신고절차도 지켜지지 않았으며, 신생아 중환자실 의료수가가 너무 낮아서 구조적으로 사고가 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보를 받아 취재가 이어졌고, 시간이 지나면 드러날 내용이었다는 지적이 있긴 했지만, 수상작으로 손색이 없다는 평가가 주류였다. 단독 보도와 이후 추적 과정이 눈길을 사로잡았고, 질 좋은 기획물도 뒤따랐으며, 피해자 입장을 적극 반영했다는 점에 심사위원들 다수가 공감했다.

 

중앙일보의 <대입 부정 배후에 대치동 브로커 있다> 역시 호평을 받았다. 다른 언론사의 선행보도가 있었고, 진실을 밝히는데 경찰과 교육부의 역할이 더 컸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뛰어난 심층보도로 장애인 입시브로커의 실체를 확인하고 제도적 보완까지 이끌어낸 점이 돋보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국민일보의 <교수 논문에 자녀 끼워넣기>는 제보가 아니라 기자의 기획에 의해 탄생한 의미있는 작품이었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 작품은 모든 논문에 저자의 소속기관을 명시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했다. ‘고등학교’ 검색어를 넣은 뒤 교수와 자식의 연관성에 의심이 가는 논문을 추적하고, 이 논문이 대학 입시 합격에 활용됐을 가능성까지 문제를 제기한 역작이었다.

 

지역취재보도부문에선 JTV의 활약이 돋보였다. <진안 가위박물관 유물 구입 의혹>과 <군의원 5년만에 일가족 3명 줄줄이 공무원 채용> 등 두 편의 수상작을 배출했다. ‘가위박물관...’은 군청과 지역 토호세력의 결탁 의혹을 파헤치기 위해 해외 판매처에까지 메일을 보내며 확인과정을 거치는 열정적인 취재 끝에 낳은 수작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역언론의 존재 이유를 부각시킨 작품이라는 호평도 나왔다. 예산유용과 유착에 대한 당국의 수사가 이어지게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군의원...’은 제보를 받아 시작하기 했지만 지역의 여건상 취재 보도가 쉽지 않았을 터인데도 이를 극복하고 진실 규명을 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언론이 지방자치단체를 견제 감시해야 할 주체임을 재삼 부각시킨 기사라는 의견도 있었다.

 

경북일보의 <뇌성마비 오진 세가와병>은 뇌성마비로 오진을 받은 채 20년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환자가 세가와병으로 판명되면서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오게 됐다는 사실을 밝힌 기사였다. 환자 개인의 신상 정보를 파헤치는 일이라 취재가 쉽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환자 가족들을 설득해 보도를 하고 꾸준한 후속취재를 통해 이 기사를 접한 다른 환자들까지 새 삶을 살도록 한 점이 돋보였다.

 

지역기획보도 신문통신부문에 선정된 경인일보의 <실향민 이야기, 꿈엔들 잊힐리야>는 그동안 실향민들에 대한 간헐적인 보도를 압도하는 역작이었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뤘다. 앉은뱅이 기사가 아닌 현장감이 돋보인 기사라는 호평도 나왔다. 현장 중심으로 흐르다보니 밋밋한 부분도 있었지만 1년 동안 보도를 지속하면서 실향민 이야기의 집대성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문보도부문에선 시사IN 김영미PD의 <스텔라데이지호를 찾아서>가 특별상을 받았다. 국내에서 국민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잊혀져가던 스텔라데이지호 유족들의 아픔과 석연치 않은 사고 과정을 현지 취재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김 PD가 국내에선 드물게 분쟁지역을 찾아다니며 기성언론이 하지 못하는 국제정세 분석과 현지인들의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밀도 있는 현장감으로 전달해온 점이 높게 평가됐다.

기자상 심사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