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입기자 등록 때 학력 필요할까

[컴퓨터를 켜며] 김달아 기자

  • 페이스북
  • 트위치

▲김달아 기자

며칠 전 인사발령을 받은 A기자. 새로운 출입처로 향한다. 출입기자 등록을 위해 홍보실에 들어서자 그쪽에서 서류를 건넨다. 이름, 소속, 나이, 연락처, 이메일주소, 이전 출입처, 고등학교, 대학교 등을 묻는 ‘출입기자 인적사항’. A기자는 빈칸을 빼곡하게 채우고선 기자실에 앉는다.


어느 출입처에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장면이다. 경찰청, 법원, 시청, 구청 같은 공공기관뿐 아니라 사기업에서도 그렇다. 하지만 출입처가 언론사여서 이런 서류를 제출해본 적 없는 나는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왜 홍보실에 기자의 학력까지 써내야 하는 걸까.’


홍보실에 물어봤다. 한 대기업 홍보팀 관계자는 “(학력을 포함한) 최소한의 정보만 받고 있다”며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라고 밝혔다. 지역에서는 기자의 출신지까지 항목에 포함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고향과 고등학교는 지역에서 기자와 홍보 담당자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 유효하다.


지역일간지 B기자는 “출입기자로 등록하자마자 홍보과장이 고등학교 후배라며 만날 때마다 이야기했다”며 “학력 요구는 홍보실이 기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건수를 만드는 거다. 우리보다 그들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학연과 지연은 늘 사람을 상대해야 하는 기자들에게도 강력한 무기다. 동문, 동향이라는 한 마디에 취재원의 마음을 열 수도 있다. 그러다가 한순간에 ‘형님 아우’ 하는 게 한국 사회의 모습이다.


때문에 기자 입장에서 출입처의 학력 요구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종합일간지 산업부 C기자는 출입처에 취재 도움을 요청했는데, 자신과 동문인 취재원을 소개해줘 수월하게 취재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출입처가 서류 작성을 강제하지 않아도 각 항목을 비워둘 기자는 많지 않을 것이다. 당사자들에게는 별것 아닌 절차, 으레 해온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기자들에게 더 편한 일일 수도 있다.


그런데 이 과정을 한 발자국 떨어져서 보면 학연을 강조하는 우리 사회의 단면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기자들이나 홍보실만의 문제는 아니다. 오래전부터 사회 전반에 깊게 박혀 있는 악습과 같다. 통신사 D기자는 “사기업은 몰라도 정부기관을 출입할 때는 인적사항으로 기자의 신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다만 신원 정보에 학력이나 출신지가 포함될지는 사회적 논의가 수반돼야 한다”고 했다.


현재 사회적 분위기는 학력과 출신지, 두 조건을 포함하지 않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오는 9월부터 지방공기업 채용에 블라인드 방식이 도입돼 이력서에 출신지나 학교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경찰개혁위원회는 수사관이 피의자, 피해자, 참고인 등 관련자와 혈연·지연·학연 등 관계가 있으면 수사 단계부터 배제하는 방안을 경찰에 권고했다. 사회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언론계는 어디서부터 변화를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할까.

김달아 기자 bliss@journalist.or.kr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