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불안감 덜었지만 동등한 대우 받았으면…

국민, 온라인기자 4명 정규직 전환
처우 개선 없어 '무늬만 정규직'
계열사 사원으로 채용한 언론사도

  • 페이스북
  • 트위치

국민일보가 비정규직 온라인 기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온라인뉴스부 소속으로 채용돼 계약직으로 일했던 기자 4명은 이달 1일자로 ‘온라인기자직’ 정규직이 됐다. 정규직이지만 약 10년간 온라인만 담당해온 기자 1명은 ‘기자직’으로 직군이 바뀌었다.


이번 정규직화는 비정규직 기자 2명의 계약 기간 만료를 앞두고 지난달 열렸던 인사위원회에서 처음 논의됐다. 국민일보 한 기자는 “편집국과 노조 등 구성원들의 온라인 기자 정규직 전환 요구가 높았고 회사가 제안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말했다. 인사팀 관계자는 “2015년 온라인기자직이라는 직군을 새로 만든 이후 들어온 기자들을 평가해 정규직으로 전환했다”며 “당시 경력으로 입사했던 기자도 있고 인턴 1년, 계약직 1년씩 일한 기자도 있다”고 밝혔다.


타사 온라인부서 계약직 A 기자는 “국민일보 케이스는 좋은 현상이고 부럽기도 하다”며 “출신이 다른 데다 계약직이라서 평소 같은 일을 하면서도 소속감을 느끼기 어렵다. 정규직 전환 이야기도 나오지만 확신할 수 없어 늘 불안하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온라인 기자들의 정규직화는 고용 안정성 보장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같은 입장인 타사 기자의 시각에선 부러운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계도 엿보인다.


이번에 정규직이 된 기자 4명은 ‘온라인기자직’ 직군이다. 공채 출신인 ‘기자직’과 신분에서 차이가 난다.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임금도 오르지 않았다. 온라인기자직에서 기자직으로 전환된 기자도 마찬가지다. 그동안 취재비 등 각종 수당은 공채 기자와 동일하게 받았지만 상대적으로 기본급이 낮았다.


이들 가운데 2명은 지난해부터 취재부서에 배치돼 근무하고 있다. 공채 기자처럼 현장에서 취재하고 지면 기사를 써왔지만, 임금 수준은 공채 신입 기자에 미치지 못한다. 같은 부서에서 같은 일을 하더라도 온라인기자직 신분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는다.


사내 직군 차이뿐 아니라 온라인 기자를 계열사 소속으로 채용해 본사 기자보다 낮은 임금을 주는 언론사도 많다. 바이라인을 달고 기사를 쓰지만 실제론 기자직군이 아니라 일반 사원직군이다.


한 일간지 온라인 부서 비(非)공채 출신 기자는 “정규직이지만 여전히 비주류라는 심리적 위축이 있다”며 “일단 연봉에서 가장 큰 패배감을 느낀다. 바로 옆에서 일하는 본지 기자와의 임금 차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만큼 크다. 국민일보 기자들도 정규직이 됐더라도 연봉 차이가 크면 박탈감이 여전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일간지 온라인 부서의 기자는 “온라인 기사 수요가 많아지면서 인력은 늘려야겠고, 비용이 부담되니까 계약직 기자나 인턴을 채용하는 것”이라며 “편집국 취재기자들은 온라인 부서를 꺼린다. ‘디지털 퍼스트’를 해야 한다고 하지만 다들 ‘신문 퍼스트’라서 온라인 뉴스를 보잘것없고, 무의미한 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채 출신과 온라인 기자는 출발선부터 다르다는 입장도 있다.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어려운 채용 과정을 거친 공채 기자의 임금·처우 우위는 당연하다는 것이다. 한편에선 이런 인식이 ‘온라인=값싼 인력’을 더 굳어지게 만든다는 우려도 나온다. 디지털 강화 흐름에 엇나가는 일시적인 인력 땜질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국민일보 내부에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국민일보 노조 관계자는 “온라인 기자들의 신분 변경 과정에서 기수에 준하는 연봉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체로 많다”며 “이 부분을 올해 임단협에서 공론화해 해결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김달아 기자 bliss@journalist.or.kr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