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참여 콘텐츠 생산 등 다양한 정책 필요

'지역방송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 세미나

  • 페이스북
  • 트위치

“지역성은 지역 언론만의 공익적인 철학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공공성 실현의 핵심가치로 인식돼야 합니다.”(박민 전북대학교 강사)


지난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역방송협의회 주관 세미나 <지역방송의 공공성 및 지역성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에서는 다양한 지역방송 지원 방안이 논의됐다.


패널들은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고 이를 유통하는 플랫폼을 지역 방송에 맡기는 등 다양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 지역 지상파 방송의 편성과 운영 등에 한정된 지역성 지수를 다차원적 지수로 바꾸고 사업 다각화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일본 지역 민방들의 사례도 제시됐다.


박민 전북대학교 강사는 “방송의 공적 책무에서 지역에 대한 규정을 보면 국가적 통합을 위해서 지역의 고유성이나 독자성을 자제, 희생되는 취지로 서술돼 있다”며 “단지 여력이 생기면 챙길 수 있는 수준으로 지역방송에 대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역방송협의회 주관 세미나 <지역방송의 공공성 및 지역성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에서 지역성 강화와 지역방송 지원 방안이 논의됐다.

박 강사는 그러면서 “현재 공영방송은 낙하산 사장의 모니터링으로 전락했다. 이사회 구성 등 불균형한 관계를 방문진법이나 방송법에서 분명히 규정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사장선임도 별도의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해 독립성을 보장하고 지역방송발전특별법도 기금을 만드는 등의 개정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또 “지역방송의 목줄을 쥐어놓고 경영적, 자생적 노력을 다하지 못했다고 말하는 건 말이 안된다. 지역방송위원회의 실질화를 통해 방송통신위원회 인사가 내려올 필요없이 지역에서 선출하게 하는 등 방송의 모순적인 구조를 손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권장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도 “전국대비 지역별 시장 환경 특성을 살펴보면 서울에서 150%의 콘텐츠 비용이 투자된다면 지역은 30~50% 정도였다”며 “제작비 투자는 주로 서울, 인천과 같은 수도권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고 지역의 경우 총제작비 투자는 전반적으로 서울의 10~40% 정도 수준으로 분석됐다”고 했다.


권 교수는 “매출규모는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MBC 총합의 경우 서울 MBC의 40~50% 초중반의 수준이었다. 이는 지역민방 총합이 서울 SBS의 30% 중후반의 수준에서 구성된 것과는 다르다”며 “생산과 소비를 기반으로 한 지역 시장에서의 잠재적 경제 규모에 비해 해당 지역에서의 분당 제작비 투자는 열악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책적 결과가 지역 콘텐츠 개발 및 지역 문화 공유에 재투자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을 필수적인 선결 요건으로 꼽았다.

이진우 기자 jw85@journalist.or.kr


이진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