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공짜뉴스 유통으로 자본의 뉴스 영향력 더 강해져"

양상우 한겨레 사장 논문

  • 페이스북
  • 트위치

뉴스매체가 범람하는 인터넷 시대에 권력이나 대기업 등이 경제력을 동원해 뉴스매체를 장악·통제하는 것이 더 쉬워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경제학계에서는 뉴스매체 숫자가 늘어날수록, 뉴스매체를 포섭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매체 포섭이 어려워진다는 것이 통설이었다.


양상우 한겨레 사장과 한순구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가 최근 계간 학술지 <동서연구>에 게재한 ‘인터넷의 발달과 뉴스매체 포섭 비용의 변화’ 논문을 보면 그동안 서구 경제학계에 통용되던 ‘매체 수가 늘어날수록 매체들을 포섭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커져 포섭이 어려워진다’는 학설은 한국의 뉴스 시장에 단순 적용한 결과, 정반대의 결과가 도출된다는 점이 이론 모형을 통해 입증됐다. 


논문 저자들은 “인터넷 발달로 뉴스매체 수가 늘었지만 절대 다수의 인터넷 뉴스상품이 무료여서 권력과 자본의 부조리를 특종 보도해 뉴스 소비량이 늘더라도 이에 따른 뉴스매체의 뉴스 판매 수입 증가는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혔다. 권력과 자본에 대한 특종 보도를 하더라도 종이신문 소비 증가는 매우 둔화했고, 뉴스매체 광고 수입 역시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논문에 따르면 현재 인터넷 광고 수입의 경우, 페이지뷰(PV) 당 약 1원 안팎이어서 100만 PV를 달성하더라도 관련 광고 수입은 약 100만원 가량에 불과하다.


저자들은 또 “이처럼 특종 보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크게 감소하면서 광고게재 등 권력이나 대기업들이 각 뉴스매체에 특종 보도를 하지 않을 대가로 치를 비용 또한 크게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특종 보도에 따라 뉴스매체 기업의 수익이 커지면, 특종 보도를 무마하기 위한 권력이나 대기업의 포섭 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현실은 정반대라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선 “특종 보도와 같은 고품질 뉴스 생산에 따른 과실이 생산주체인 뉴스매체에 온전히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방식으론 “뉴스매체와 포털 사이의 뉴스콘텐츠 거래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무료’ 혹은 ‘총액고정 장기계약’ 방식으로 뉴스콘텐츠를 공급받는 포털이 ‘뉴스 소비량에 연동하는 유상 거래’ 방식으로 거래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 방식이 고품질 뉴스에 대한 생산 유인을 증가시킨다”며 “뿐만 아니라 뉴스매체를 포섭하려는 권력과 대기업 등에 대한 뉴스매체의 협상력 증대로 이어져 매체 포섭 현상을 그만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