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 자성이 메아리에 그쳐서는 안 된다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 페이스북
  • 트위치

2013년에서 2015년 사이 입사한 국민일보 기자 18명이 ‘국민일보에 희망을 묻는다’라는 호소문을 노동조합 노보에 담아냈다. 열악한 취재환경 속 내부개혁을 외치는 젊은 피들의 부르짖음이다. 회사 미래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현재까지의 구태를 반복할 경우 더 이상 이를 좌시할 수 없다는 경고이기도 하다.


매일신문의 차장급 이하 기자들도 천주교 대구대교구로부터의 편집권 독립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공공성과 독립성을 지켜야 할 언론이 사유화됨에 따라 경영진의 일방적인 횡포에 더 이상 침묵으로 일관할 수 없다는 외침이다. 또 언론 윤리와 사회적 책무를 다하겠다는 자기 반성인 셈이다.


단순히 두 매체 젊은 기자들의 치기 어린 열정만으로 보기에 언론환경은 너무 척박하다. 온라인과 모바일로 급변하는 미디어 생태계에서 휘발성 가십기사가 홍수처럼 쏟아진다. 기자들은 인력난 속에 쳇바퀴 돌듯 기사를 찍어낸다. 권력과 자본에 의해 자존심이 구겨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은 권력의 감시자가 아닌 청탁 대상으로 전락시켰다.


우리는 숱하게 혁신을 요구하는 기자들의 성찰을 봐왔다. 그렇지만 아무 것도 바뀌지 않은 채 무력감만 주는 일이 빈번했다. 신문, 방송에 청춘을 바쳤던 선배 기자들은 경영진이 되자 소통은커녕 상명하달 식 구조를 팽배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가 무엇인가. 공영방송은 정권에 장악됐고 기자들에게는 징계, 해고가 만연해졌다. 경제지를 중심으로는 샐러리맨과 다를 바 없다는 자조 섞인 한탄도 나온다. 젊은 기자들의 외침이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서는 안 되는 이유다.


때마침 언론단체와 시민단체는 지난 24일 자유언론실천선언 42주년을 맞아 ‘2016 자유언론실천 시민선언’을 발표했다. ‘언론의 민주화 없이 권력의 민주화 없다’며 유신독재에 맞섰던 자유언론의 외침을 재차 내걸었다. 우리는 지금 기억한다. “민주사회를 유지하고 자유국가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사회 기능인 자유언론은 어떠한 구실로도 억압될 수 없으며 어느 누구도 간섭할 수 없다”는 선언을.


국제적인 언론감시기구인 ‘프리덤하우스’의 언론자유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11년부터 6년째 ‘부분적 언론자유국’으로 평가됐다. 법, 정치, 경제적 환경 세 분야 중 정치적 환경(Political Environment)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언론자유를 위한 우리의 투쟁은 현재진행형이며 멈춰서도 안 된다.


실제적으로는 정치권력 못지 않게 경제권력으로부터의 독립도 절실하다. 언론자유가 ‘사주의 자유’로 왜곡돼 자본을 극복하지 못하는 한계가 한탄스럽다. 투쟁하고 쟁취하기보다 자기 검열에 더 익숙한 기자들의 모습은 참담할 뿐이다. 기존 방식에 안주하고 무관심해지는 기자사회가 두렵다. 문체는 간결하되 사실을 준엄하게 기록해 대의명분을 밝힌다는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정신을 원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言論)은 권력을 견제하는 제4부가 아니었던가.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일방통행 식의 경직된 조직문화부터 깨뜨려야 한다. 그 길을 위해 오늘도 싸우고 또 싸워 반드시 쟁취할 것이다. 이제는 책임 있는 자세로 기자들의 목소리에 응답해야 할 때다.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