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과 언론부터 바뀌어야 산다

[스페셜리스트 | 경제] 곽정수 한겨레 경제선임기자·경제학박사

▲곽정수 한겨레 경제선임기자

“성완종 스캔들로 모든 경제 이슈들이 실종됐다.”
경제5단체의 한 상근부회장이 최근 기자와 만나 탄식하며 한 말이다. 노동시장 개혁, 공무원 연금개혁, 복지와 증세 논란, 최저임금 인상, 일자리 창출, 저물가와 저성장이 병행하는 디플레이션 등 당면한 경제사회 현안들은 일일이 열거하기도 힘들 정도다. 많은 경제인들은 개혁을 위한 ‘골든타임’을 또 다시 허송세월하게 됐다고 허탈해한다. 


그럼에도 내일 세상이 무너지는 게 아니라면 다시 힘을 내야 한다.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사회적 대타협밖에 없다는 데 대다수 국민들이 동의한다. 하지만 최근 노동시장 개혁을 논의하던 노사정위원회가 결렬된 것처럼 그 길은 멀기만 하다.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과 대비되는 것이 유럽의 강소국 네덜란드다. 네덜란드는 1980년대 초만 해도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10%를 넘는 높은 실업률, 재정적자 확대 등 경제위기에 시달렸다. 이른바 ‘네덜란드의 병’은 지속가능하지 않은 복지체계의 대명사로 불렸다. 하지만 1990년 이후 20여년간 연평균 성장률 2.9%로 유럽연합의 평균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네덜란드의 사회학자인 옐러 피서르와 안톤 헤이머레이크는 공저인 ‘네덜란드의 기적’에서 그 결정적 계기를 전 세계 노사관계에서 기념비적 대타협으로 평가받는 1982년의 바세나르협약에서 찾는다. 노동계는 과도한 임금인상 억제라는 양보를 하고, 정부와 경영계는 일자리 나누기 차원의 근로시간 단축, 파트타임 근로 활성화 등을 통해 일자리를 늘리는 것으로 화답했다. 또 1993년에는 신노선협약, 1996년에는 노동유연성협약 등 일련의 대타협을 이어갔다.


우리나라는 위기의 구체적 현상에는 차이가 있지만 저임금·일자리 부족→저소비→저성장→저임금·일자리 부족의 악순환이 해결되지 않으면 희망이 없는 위기의 심각성에는 차이가 없다. 극심한 노동시장 격차, 연공급 중심의 임금체계 등 지속가능하지 않은 노동시장을 바꾸기 위한 대타협이 절실하다. 


네덜란드 기적의 원동력은 서로 다른 의견을 지닌 집단들이 평화로운 합의를 이끌어낸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엘지경제연구원은 이를 ‘네덜란드의 컨센서스 경제’로 표현하며, 그 성공요인으로 노사정의 긴밀한 협조와 동등한 파트너십, 정부의 합리적 리더십, 노사정이 협력·협의할 수 있는 사회적 플랫폼(토대)을 꼽았다.


우리는 이들 성공요인 중에서 어느 것 하나 제대로 갖춘 게 없는 듯하다. 무엇보다 부족한 것은 네덜란드의 정부, 노동재단(노사협의기구), 사회경제평의회(노사정 3자협의체 자문기구)처럼 대타협의 사회적 플랫폼이다. 수년 전 네덜란드 현지취재 중에 만난 노동재단의 사무총장이 대타협의 중심이 되고 있다고 자랑스레 말하던 게 기억난다. 


결국 한국에서 사회적 대타협이 안되는 것은 특정 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과정과 조건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정부·정당·단체·연구기관·언론 등이 모두 지역·진영·당파논리에 빠져 양보와 합의를 거부하는 현실에서 대타협을 바라는 것은 우물에 가 숭늉 찾는 것과 같다. 


아직도 기회는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먼저 정부와 언론부터 바뀌어야 한다. 대통령은 후임 총리를 사회적 대타협을 이끌 적임자로 지명해야 한다. 언론도 사회적 갈등을 부추기는 무책임에서 벗어나, 대타협을 위한 플랫폼으로 거듭나야 한다.



곽정수 한겨레 경제선임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