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이명박 vs 정동영 2강 구도 고착화, 대선판 왜곡
[보도자료] 10월15일~20일 주간 모니터보고서
대선미디어연대
www.pcmr.or.kr
2007.10.24 15:05:25
이 기사는 <07’ 대선미디어연대>에서 작성한 ‘2007 대통령 선거 관련 언론보도 모니터보고서’ 입니다. <한국기자협회>는 <07’ 대선미디어연대>와 함께 2007년 대선보도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언론들의 선거보도와 관련해 건전한 비평과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취지에서 보고서 전문을 인터넷에 게재합니다.
|
<보도자료>10. 15-20 주간모니터보고서
▶ BBK 의혹, 조선·동아 ‘2002 김대업 사건’ 규정 : 본질 흐리기
방송 3사 정치적 공방으로 부화뇌동 BBK의 피의자 김경준 씨에 대한 송환 연기 신청에 대한 정치권 공방이 뜨거워진 한 주였다. 조선과 동아는 BBK 사건을 2002년 대선 당시 등장한 ‘2002년식 김대업 사건’으로 규정하며 본질을 흐리고 있는 양상이다. 즉, 조선과 동아는 BBK 사건을 범여권의 대선 활용용으로 정리, 정치권의 공방으로 단순하게 치부하고 한나라당의 입장을 옹호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조선은 15일 <김경준 송환에 대한 이명박 후보의 입장>이라는 사설에서 김경준 씨 사건을 ‘범여권의 대선활용용’으로 보고 있다. 게다가 김 씨 뒤에 누군가 뒤를 봐주고 있다는 식으로 ‘음모론’까지 제기한다.
조선 10월 15일 39면 사설) 김경준 송환에 대한 이명박 후보의 입장 “김씨의 송환이 정치적 이슈가 되는 것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거 한때 이 사람과 다른 회사를 동업한 때문이다. 이 후보는 회사 자본금을 댔다가 피해를 입었다며 김씨를 고소했지만 여권은 이 후보도 사건에 관련이 있지 않으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여권은 김씨가 귀국해 이 후보에게 불리한 폭로를 해주기를 기다리고 있다.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버티면서 3년 이상 소송을 하던 김씨가 갑자기 대선 직전에 자진 귀국하겠다는 이유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범인인도조약에 따라 어차피 언젠가는 한국으로 송환될 수밖에 없는 처지에서 대선이 끝난 후에는 정치적으로 ‘협상’할 기회가 없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김씨를 뒤에서 부추기는 세력도 있을 수 있다. |
또한 20일에도 미 법무부가 연방법원에 송환연기 반대의견서를 내 김경준 씨가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된 데에 대해 〈이측 “범여의 제2 김대업 공작” 정 후보 측근 인사 개입 의혹 제기〉〈신당 “BBK 의혹 드러날 것” 이 후보 독주체제 흔들 카드 기대〉라는 기사를 통해 “신당에서 이 후보를 흔들 수 있는 전략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BBK 의혹 연루설을 이 후보의 독주체제를 흔들 수 있는 핵심 카드 중 하나로 기대해 왔기 때문이다”라며 범여권의 이 후보에 대한 정치적 공세로만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동아 역시, 15일 기사 제목을 〈“김경준 씨 대선 앞두고 귀국설 보이지 않는 손 작동하고 있다”〉라고 뽑아 한나라당의 입장을 그대로 게재했다. 김경준 씨 송환 지연에 대한 범여권과 한나라당의 정치 공세를 보도하며 BBK 의혹 해소와는 거리가 먼 ‘한나라당’의 입장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BBK사건은 한나라당이 대선을 2개월 여 앞두고 정치적으로 공격을 받고 있는 사건으로 규정한 것이다.
|
 |
|
|
▲ <그림1> 동아 10월 15일 8면 |
|
결론적으로 조선과 동아는 이 사건을 정치적 공방으로 몰고 가거나 근거없는 음모론으로 핵심에 물타기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들은 검증을 도외시 한 채, 정치권의 대 이명박 흠집내기로 규정한 것이다. 사실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고 정치공방의 수단으로 축소시키거나 왜곡하는 것은 언론으로서 해야 할 일을 방기한 것에 다름 아니다.
방송 3사도 마찬가지다. 한나라당이 겉으로 “아무런 문제도 없다”면서도 정작 미 법원에 판결유예를 요청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 ‘보이지 않는 손’이 있다는 식으로 핵심을 비켜가면서 공방과 의혹제기를 일삼고 있다. 적절한 문제제기를 하지 못하고, 정치권의 주장을 진실인 양 나열해 보도하고 있어 시청자들은 혼란과 정치염증으로 빠져들게 한다.
또한 한나라당이 통합신당 측의 주장에 반박하며 ‘보이지 않는 손’이 있다는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했음에도 이를 전혀 문제 삼지 않았다. 정치권의 BBK의혹에 대한 정치적 공방에 부화뇌동하여 사건의 핵심을 전달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근거 없고 무책임한 의혹제기가 시청자들의 정치혐오감을 부추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뉴스가 이를 바로잡지 않는 것은 되려 정치혐오감을 부추기는 꼴이다.
▶ 조선, 이명박 vs 정동영 2강 구도 고착화, 대선판 왜곡
방송, ‘권영길·이인제·문국현’ 패키지 보도, 겉 핥기만
통합신당의 대선후보가 확정된 이후, 언론의 대선 판도는 ‘이명박 대 정동영’의 양당 구도, ‘2강 체제’로 고착화된다. 특히, 조선은 통합신당 정동영 후보가 당선되자 10월 16일 경제 1면(B1면)에서 두 후보의 경제정책에 관해 비교 분석하는 기사를 배치했다. 통합신당 대선후보가 확정되자마자 정책을 비교 분석한 조선의 발빠른 움직임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조선은 이미 대선후보로 확정된 민노당 권영길 후보와 문국현 후보가 배제된 채, 두 후보의 정책만을 비교했다.
|
 |
|
|
▲ <그림2> 조선 10월 16일 경제 1면(B1면) |
|
이러한 2강 구도의 보도는 시작에 불과했다. 17일 조선은 더욱 적극적으로 ‘이명박 대 정동영’의 대결구도로 보도한다. 조선은 17일 <이명박 對“ 정동영…본격 대선 레이스>란 머리제목을 단 기사에서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후보가 정동영 후보로 확정됨에 따라 당분간 대선 정국은 지지율 선두인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원내 1당인 신당의 정 후보 간의 대결 구도로 전개될 전망이라고 전한다. 18일에도 역시 이 후보와 정 후보의 정책을 비교 검토하고 있으나 여기에서도 권영길 민주노동당, 이인제 민주당, 문국현 가칭 창조한국당 후보의 공약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대결 구도? 누가 만들어놓은 구도인가. 지금 형성되고 있는 이 vs. 정의 대결 구도는 언론이 만들어낸 프레임일 뿐이다. 특정 후보들이 소외된 2강 구도는 대선판 자체를 왜곡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한편, 방송은 이명박·정동영 후보 외에 소수 후보·정당에 대한 보도는 패키지 형식을 띠고 있다. 권영길, 이인제, 문국현 후보에 대한 보도를 한 꼭지에 묶음 식으로 담으려 하다 보니, 그 보도의 내용은 단순한 스케치 보도에 치중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정책을 보도하는데 있어서도 적용된다. 한 꼭지 보도에 세 후보의 하루 동정과 제시한 정책을 소개하자니 백화점식으로 나열하기에 바쁘다. 지지율 한 자릿수 후보라 하더라도 후보들이 제시하는 정책에 대한 면밀한 검증의 책임은 언론에 없는 것일까.
지지율에 의한 차별적인 보도시간과 배치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그 보도 내용에 있어서는 좀 더 구체적인 정보 제공이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지지율 한 자릿수 후보라 하더라도 후보들이 제시하는 정책에 대한 면밀한 검증의 책임은 언론에 없는 것일까.
<기타 모니터 보고서 내용>
1. 신문
▶ 통합신당 후보 확정 전 ‘범여권 후보 단일화’ 언급, 유권자 요구인가?
중앙·동아, 단일화에 대한 곱지 않은 시각
▶ ‘정책 검증’은 커녕 ‘가십성 기사’ 남발
조선, 이명박·정동영 승용차 보다 못한 소수 정당 후보
2. 방송
▶ 이인제, ‘충청 대통령’ 반복되는 지역감정의 망령
KBS·MBC, 비판의식 결여된 채 있는 그대로 전달
▶ MBC·SBS 범여권-권영길 연대설, 김치국 부터
통합신당 경선 의미, 진단 없는 방송 3사 ※ 인터넷 보고서는 10월 23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실시간 모니터를 한 후, 추가하여 24일자로 발표됩니다. ※ 본 주간 모니터 보고서는 다음의 웹사이트를 통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언론개혁시민연대
http://www.pcmr.or.kr▶ 한국기자협회
http://www.journalist.or.kr ▶ 전국언론노동조합
http://media.nodong.org▶ PD저널
http://pdjournal.com/ ▶ 미디어스
http://www.mediaus.co.kr■ 문의 : 대선미디어연대 사무처 02-737-7077
김동준(대선미디어 연대 모니터 본부장, jun6067@hanmail.net, 02-3219-5612)
2007년 10월 23일
대선미디어연대 모니터본부
대선미디어연대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